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인사이트] 함철민 기자 = 이르면 올해 연말부터 서울에서는 오후 10시 이후 택시를 타면 40% 할증된 요금이 내야 할 수도 있다.
현행 3800원인 택시 기본요금도 4000원대로 오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25일 서울시와 택시업계에 따르면, 시는 새로운 할증요율 등이 담긴 택시 요금 인상안을 마련 중이다. 현재 심야 시간대 기본요금은 3800원에서 20% 할증된 4600원이다.
40% 할증이 붙으면 요금은 5300원으로 늘어난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앞서 시는 이달 초 택시업계에 오후 10시부터 자정까지는 20%, 자정부터 새벽 4시까지는 30%의 할증요율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택시업계에서는 반발했다. 30%로는 기사들이 심야시간대 거리로 나서지 않을 것이란 이유다. 이에 택시 할증요율이 최대 4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택시 기본요금 인상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2019년을 제외하고 4년마다 택시 기본요금이 올랐던 점에 비춰볼 때 내년 상반기에 요금이 인상될 가능성이 크다.
서울시는 다음 달 5일 '심야 승차난 해소를 위한 택시 요금 정책 개선' 공청회를 연다. 관련 전문가, 택시업계 관계자, 시민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시는 공청회에서 택시 운행에 드는 비용인 '택시 운송 원가'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심야 택시난 해소를 위한 택시 가동률 증가와 택시 기사 유인책에 대한 의견도 들을 예정이다.
서울시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밤 시간대에 택시를 잡기 어렵다는 불만이 나오자 택시 공급을 늘리기 위해 개인택시 부제 해제, 심야 전용 택시 확대 등의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럼에도 택시 기사들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젊은 기사들은 배달, 택배 등 업종으로 빠지면서 코로나 사태 이전보다 약 5000대 정도의 택시가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