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의 직고용 배송기사들로 구성된 쿠팡친구 노동조합이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에 대해 "민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이라고 규정하며 정면 비판했습니다.
지난 7일 쿠팡노조는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쿠팡 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했기에 가능한 일이며, 이는 쿠팡 노조 탈퇴에 대한 민주노총의 보복"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지난 2023년 11월, 쿠팡노조는 "정치적 활동에 대한 강요를 못 참겠다"며 "조합원 권익보다 산별노조의 여러 활동 참여 요구가 잦았고 조합비 납부를 요구해 이익이 침해당했다"고 민주노총을 탈퇴를 선언한 바 있습니다.
쿠팡노조는 입장문에서 조합원 93%의 찬성으로 민주노총을 탈퇴했다고 강조하며, "쿠팡노조는 정치적 활동이 아닌 조합원을 위한 실질적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탈퇴를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민주노총은 노동자를 위해 새벽배송 금지가 꼭 필요한 것처럼 말하지만 쿠팡노조가 민주노총 소속일 때는 단 한 번도 이런 주장을 한 적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쿠팡노조는 "조합원의 일자리를 빼앗는 주장을 노동조합이 한다는 자체가 말이 되지 않다"며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쿠팡노조는 현재 야간 배송 조합원 비율이 40% 이상에 달한다고 밝히며, "이 40%의 고용 안정을 위협하는 시도는 결코 납득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민주노총만 고수하는 이유는 조합 내 야간 배송기사 비율이 극히 낮기 때문에 나머지는 어떻게 돼도 상관없다는 의미로 보일 정도"라고 주장했습니다.
쿠팡노조는 "택배기사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인데도 당사자인 쿠팡노조와 전국비노조택배연합이 배제된 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을을 지키기 위해 시작된 논의가 을을 배제한 채 을의 일자리를 위협하는 현실이 개탄스럽다"고 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쿠팡노조는 "야간 노동자 일자리, 임금 보전 없는 새벽배송 금지 추진은 탁상공론이자 정치적 의도가 섞인 행보일 뿐"이라며 "정부는 쿠팡노조의 사회적 대화기구 참여를 즉시 보장하라"고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