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씨가 명성황후의 침실이자 시해 장소로 알려진 경복궁 '곤녕합'에 단둘이 들어가 약 10분간 머물렀던 사실이 새롭게 확인됐습니다.
이에 대해 국가유산이 개인의 사적 공간으로 이용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지난 23일 김교흥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지난해 3월 5일 갑작스럽게 경복궁을 방문했으며, 당시 동행자는 경호관 1명뿐이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가유산청의 설명에 따르면, 두 사람은 당초 국립고궁박물관 수장고 점검을 위해 방문했으나, 열쇠를 가져오느라 일정이 지연되자 인근 경복궁을 즉흥적으로 찾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당시 고궁박물관 측은 경복궁 방호과에 "대통령 내외가 넘어간다"고 통보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과 김 씨는 일반인 관람이 종료된 오후 5시 무렵 경복궁에 들어가 근정전과 경회루 2층, 향원정, 건청궁을 차례로 둘러봤습니다. 특히 건청궁은 명성황후가 생활했던 곳으로, 문화재 보존을 위해 평소에는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제한된 구역입니다.
국가유산청 확인 결과, 당시 건청궁 내 곤녕합은 문이 닫혀 있었지만 윤 전 대통령 부부가 "닫힌 문 열어라"고 지시한 뒤 직접 내부로 들어갔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곤녕합은 명성황후가 시해된 장소로, 국가유산 관계자나 경호관 없이 두 사람만 약 10분간 머무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한편 김건희 씨는 같은 해 9월 12일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과 함께 다시 경복궁을 방문했습니다. 이들은 근정전과 경회루 2층, 흥복전을 둘러봤으며, 이 과정에서 김 씨가 근정전 내 '왕의 의자'인 용상에 직접 앉았던 사실이 논란이 된 바 있습니다.
국가유산청 자료에 따르면, 당시 김 씨 일행은 흥복전에서 국립고궁박물관 주차장까지 약 500m를 이동하며 2인승 카트 4대를 이용했습니다. 경복궁 내에도 카트가 있었으나 "상태가 낡았다"는 이유로 창덕궁에서 2대를 추가로 빌려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교흥 위원장은 "왕의 자리에 앉았던 김건희 씨가 이번에는 왕비의 침실까지 들어갔다"며 "윤석열·김건희 부부의 국가유산 사유화 의혹에 대해 특검이 한 점 의혹 없이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