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범죄에 속아 호텔에서 셀프감금을 하던 30대 여성이 택시 라디오를 통해 우연히 들은 경찰관의 보이스피싱 예방 방송 덕분에 5,000만 원의 금전 피해를 막은 사례가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난 22일 울산경찰청은 이같은 내용을 전했습니다. 30대 여성 A씨는 지난 9월 23일 검찰 사무관을 사칭한 범죄자로부터 법원등기 배송 관련 전화를 받았습니다.
이후 검사를 사칭한 범죄자의 지시를 따라 휴대폰을 추가로 개통하고, 부산과 울산의 호텔 2곳에서 이틀간 셀프감금했습니다.
범죄자들은 A씨에게 범죄 연루 의혹으로 인한 자금전수조사가 필요하며, 금융감독원 출입 승인까지 임시 보호관찰을 위해 숙박업소에 머물러야 한다고 속였습니다. 또한 가짜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하여 위조된 구속영장과 거래내역을 확인하도록 했으며, 5,000만 원을 준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A씨는 이를 믿고 셀프감금 상태에서 돈을 마련하던 중, 지난 25일 오후 4시 40분경 세 번째 감금 장소인 울산 남구 삼산동 호텔로 이동하기 위해 택시에 탑승했습니다.
그런데 마침 택시 라디오에서는 울산경찰청 강력계 소속 경찰관이 보이스피싱 사례를 설명하는 생방송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A씨는 우연히 이 방송을 듣고 자신의 상황이 동일한 보이스피싱 범죄임을 깨달았습니다.
A씨는 즉시 울산북부경찰서를 찾아가 자신의 상황을 신고했고, 5,000만 원의 금전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습니다.
당시 TBN울산교통방송에서는 울산경찰청과 협업하여 보이스피싱 특집 방송을 진행하고 있었는데요, 이 프로그램은 지난 5월부터 매월 1회씩 범인 음성과 최신 수법을 소개하며 보이스피싱 범죄 예방을 위해 기획된 것이었습니다.
한편, 캄보디아 피싱범죄 조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현지 검거가 진행되는 상황에서도 보이스피싱 범죄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울산에 거주하는 70대 여성 B씨는 지난 15일 금융기관 직원을 사칭하는 범죄자로부터 "통장에서 현금을 인출하려는 사람이 있다"는 전화를 받았습니다.
이후 경찰관을 사칭한 또 다른 범죄자가 영상통화로 제복을 착용한 모습을 보여주며 B씨를 안심시켰습니다.
범죄자들은 B씨의 휴대전화에 악성앱과 원격제어앱을 설치한 후, 금융감독원과 검사를 사칭하여 "자금 전수조사를 위해 골드바를 구매해야 한다"며 1억 원 상당의 적금을 해지하도록 속였습니다.
다행히 B씨는 다음날 중울산농협 상방지점을 방문해 수표로 1억 원을 출금하려다 이를 의심한 은행원의 신고로 피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은행원은 출금 목적을 '전세자금'이라고 하면서도 세입자 연락처 공개를 거부하는 B씨의 행동을 수상하게 여겨 신고했습니다.
울산경찰청은 이 은행원에게 감사장을 수여할 예정입니다.
울산경찰청 관계자는 "최근 은행원 사칭 미끼전화에 이어 경찰을 사칭하는 신종 범행수법이 중장년층을 상대로 발생하고 있다"며 "고액 인출 시 112신고 등 울산경찰청과 금융기관의 협업이 강화되자 수표 피해는 감소한 반면 골드바 매입 지시, 체크카드를 수거해 출금하는 수법으로 인한 피해가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