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범죄단지 탈출자가 외교부 해명과 다른 당시 상황을 공개하며 대사관 대응 논란이 재점화 되고 있습니다.
21일 연합뉴스는 지난 4월 시아누크빌 범죄단지에서 가까스로 탈출해 12시간 만인 오전 6시경 프놈펜 소재 한국대사관에 도착했지만 근무시간이 오전 8시부터라는 이유로 입장을 거부당한 A씨가 전한 당시의 상황에 대해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자신에게 근무시간인 8시전까지 대사관 옆 경비초서에서 잠시 머무르라고 안내했다는 외교부 측의 해명이 실제 상황과 달랐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실제로 초소에 들어가려 하자 현지인 경비원이 막아서서 들어갈 수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A씨에 따르면 대사관 측이 경비초소에 자신이 잠시 머물 수 있도록 해달라는 연락을 하지 않아 결국 부지 밖으로 쫓겨났다고 합니다.
대사관 앞 도로가 트여있어 다시 잡혀갈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낀 A씨는 "근처 호텔 1층 편의점에 들어가 물건을 2분 간격으로 사고 또 사면서 시간을 끌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습니다.
A씨는 또한 "호텔의 현지인 경비원에게 물을 사주고 빵을 나눠 먹으면서 대사관 문이 열릴 때까지 기다렸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대사관 영사가 오전 8시 전에 자신을 만나 조력을 제공했다는 외교부 해명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습니다.
A씨는 "오전 6시부터 계속 대기했지만 누구든 업무시간 전에 미리 와서 같이 있어 주지 않았다"며 "오전 8시 전이 아니다. 오전 8시에 딱 맞춰서 왔다"고 덧붙였습니다.
대사관에 들어온 이후에도 문제가 있었다고 A씨는 주장했는데요. 그는 '내부에서 보호해줄 수 없다'는 설명과 함께 인근 게스트하우스를 안내받았다고 했습니다.
A씨는 "대사관과 관련 없는 게스트하우스에 데려다줬다"며 "비행기 타는 시간까지 게스트하우스에 있다가 출국 전 영사님이 공항까지 바래다줬다"고 설명했습니다.
A씨는 고수익 일자리가 있다는 말을 듣고 캄보디아로 향했다가 범죄단지에 감금된 상황이었습니다.
그는 옷 속에 숨겨둔 휴대전화로 대사관에 문자를 보내 구조를 요청했으나, 대사관에서 정확한 위치와 사진을 요구해 도움을 받을 수 없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