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구직자들의 취업 준비 비용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특히 어학시험과 자격증 취득, 그리고 학습 공간 이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19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구직자 1001명 중 43%가 올해 취업 준비 비용이 작년보다 증가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이 46% 가장 높게 나온 반면 비용이 줄었다고 답한 응답자는 11%에 불과했습니다.
구직자들이 매월 취업 준비를 위해 지출하는 평균 비용은 약 28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응답자의 44%가 '10~30만원' 범위에서 비용을 지출한다고 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10만원 미만'이 23%, '30~50만원'이 22%를 기록했으며, 일부는 '50~100만원'(8%)이나 '100만원 이상'(3%)을 지출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취업 준비생들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비용 항목은 '어학·자격증 취득비'로 29%의 응답률을 보였습니다. 뒤이어 '카페·스터디룸 등 공간 이용료'와 '학원·강의 수강료'가 각각 22%로 동일한 비율을 나타냈습니다.
그 외에도 면접비(10%), 학습 물품비(8%), 취업 컨설팅(7%), 대외활동·동아리비(1%) 순으로 비용 부담을 느끼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취업 준비 비용을 마련하는 방법으로는 '모아둔 개인 자금'이 63%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가족의 지원'(47%)과 '아르바이트·인턴 수입'(45%)도 주요한 자금 조달 방법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정부 보조금'(18%), '장학금'(4%), '대출'(3%) 등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취업 비용 증가는 단순히 물가 상승 때문이 아니라 청년층이 체감하는 고용 불안이 함께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