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6일(일)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정부 송환 요구... "러·중 경유해 北 가겠다"

42년 수형생활 마친 비전향장기수, 제3국 경유 북한 송환 공식 요구


42년간의 수형 생활을 마치고 1990년대 출소한 비전향장기수 안학섭(95)씨가 러시아나 중국 등 제3국을 경유해 북한으로 송환해달라고 정부에 공식 요구했습니다.


16일 안씨는 오전 서울 종로구 카페 누구나(nuguna)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러시아 또는 중국을 경유해 조선으로 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비전향장기수 안학섭(95)씨 / 뉴스1


안씨는 "공개적으로 송환을 요구한 지 벌써 세 달이 넘었다"며 "정부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한다고 해놓고 여태껏 아무런 답변이 없다. 내가 언제까지 기다릴 수 있겠나"라고 호소했습니다.


그는 또한 "제3국을 통해 가는 것은 통일부 관계자들이 먼저 입으로 꺼냈던 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통일부와 비공식 접촉에서 제3국 경유 방안 언급 주장


안학섭선생송환추진단 측은 지난 7월 통일부 관계자와의 비공식적 만남에서 이러한 언급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준혜 송환추진단 공동집행위원장은 "통일부는 공식적으로 어떤 얘기도 우리에게 한 적이 없다"면서도 "다만 비공식적으로 접촉하는 과정에서 (통일부 관계자가) '제3의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그 방법이 제3국이 포함된 것이라고 인식했다"고 말했습니다.


송환추진단은 제3국을 경유한 안씨의 송환과 관련한 협조 공문을 지난 14일 통일부와 외교부로 전달했습니다.


주한 러시아대사관과 중국대사관에는 면담을 요청하는 공문을 이메일과 우편을 통해 발송했다고 밝혔습니다.


뉴스1


인천-블라디보스토크-평양, 베이징-평양 경유 방안 제시


공문에는 인천에서 출발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거쳐 평양으로 가는 방안과 중국 베이징을 거쳐 평양으로 향하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송환추진단은 비용 전액을 자신들이 부담하겠다고도 덧붙였습니다.


외교부에는 러시아, 중국 정부와의 외교적 협의를 통해 입국 비자를 발급할 것을, 통일부에는 북한과의 공식 협의 창구를 개설하고 송환 관련 실무 합의를 추진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아울러 송환추진단은 통일부에 관계 부처와의 합동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송환 과정에서의 대응 체계를 마련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송환추진단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공항 투쟁'을 진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적 공동단장은 "티켓팅도 하고 여권도 발급받아서 공식적으로 해외로 출국하는 형태로 투쟁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