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유등축제 닭강정 바가지 논란 확산
진주시에서 열린 유등축제가 과도한 음식 가격 논란으로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습니다.
축제 현장에서 판매된 닭강정의 가격과 양을 둘러싼 논쟁이 온라인상에서 빠르게 확산되면서 지역 축제의 바가지 요금 문제가 다시 한번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지난 14일 사회관계망서비스 스레드에 한 이용자가 올린 게시물이 논란의 발단이 되었습니다.
해당 이용자는 진주 유등축제에서 만원을 주고 구입한 닭강정의 모습을 사진으로 공개하며 불만을 표출했습니다.
게시물 작성자는 "받고 어이없어서 찍었다. 언제 튀겼는지 모를 차게 식은 닭강정과 감자튀김, 그 밑엔 알새우칩이 있다"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습니다.
공개된 사진에는 마른 닭강정 몇 조각과 감자튀김, 알새우칩이 손바닥 크기의 작은 용기에 담긴 모습이 담겨 있었습니다.
온라인 커뮤니티 갑론을박 벌어져
이 게시물을 접한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상반된 반응이 나타났습니다.
일부는 "사기꾼 천지다", "이게 어떻게 만원 양이냐", "바가지 축제는 가면 안된다"며 강한 비판을 쏟아냈습니다.
반면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누리꾼들도 있었습니다.
"만원이면 비싼 건 아니다", "양이 적긴하지만 욕할 정도는 아닌 것 같다", "축제면 어느 정도는 감수해야 한다"는 등의 반박 의견도 제기되었습니다.
지역 축제에서 발생하는 바가지 요금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이러한 문제는 단순한 가격 책정의 문제를 넘어서 지역 이미지 훼손, 소비자 신뢰 하락, 재방문 기피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습니다.
특히 성실하게 영업하는 지역 소상공인들까지 피해를 보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구조적 문제 해결 필요성 대두
전문가들은 이번 논란의 배경에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가격표 미비, 축제 운영 구조의 문제점, 단기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유인 등이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는 "바가지 요금은 특정 업소만의 문제가 아닌 지역 이미지와 관광 경쟁력을 좌우하는 구조적 문제"라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성실하게 영업하는 소상공인이 피해를 보지 않도록 제도 개선과 현장 대응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