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관광업계, 한국 정부 대응에 유감 표명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 감금, 살인 등 강력범죄가 연이어 발생하는 가운데, 현지 관광업계가 한국 정부의 대응 방식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셈 속헹 캄보디아 한국관광가이드협회장은 최근 현지 매체 프놈펜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희생자 대부분은 불법 일자리에 지원한 사람들"이라며 "한국 정부가 범죄와 관광을 구분하지 않고 조치한 점이 안타깝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최근 한국 관광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지만 지난 열흘 동안 캄보디아를 여행한 한국인들은 모두 안전하게 지냈다"고 강조하며, 한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온라인 사기 수법, 특히 고액 일자리를 미끼로 한 범죄에 대한 교육과 예방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 "우리도 범죄 피해자... 국제 협력 필요"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크메르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의 감정을 이해한다"면서도 "캄보디아 역시 이 범죄의 피해자라는 점을 한국이 이해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그는 "정보 공유와 기술 지원 등 모든 방식의 국제 협력을 환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국인 피해자 가족이 외교적 도움을 요청했다는 보도에 대해 캄보디아 경찰은 "시신이 발견되기 전까지 피해자 가족이나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으로부터 어떤 신고나 요청도 받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사르 소카 캄보디아 내무장관은 최근 개최된 사이버범죄 대응 세미나에서 "외국 범죄 네트워크에 캄보디아가 악용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단속 중"이라며 "지난 2년간 온라인 범죄에 가담한 외국인 1만5000여 명을 추방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사이버범죄 퇴치는 캄보디아만의 책임이 아니라 국제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한국과의 협력 강화를 촉구했습니다.
한국인 대상 범죄 급증... 정부 대응 강화
외교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기준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330건으로, 지난해(220건) 전체기간 대비 50% 증가했습니다.
취업사기 피해자 수도 144명으로 전년(46명)에 비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에는 박람회 참가를 이유로 캄보디아에 입국한 경북 예천 출신 22세 대학생이 3주 뒤 숨진 채 발견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후 전북, 광주, 대전, 제주 등 전국 각지에서 "캄보디아로 출국했다가 연락이 두절됐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한국 정부는 프놈펜 등 일부 지역을 위험구역으로 지정하고 재외국민에게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으며, 외교부는 여행경보를 한 단계 더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