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한국인 납치 사건 급증, 창원 20대 남녀도 피해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납치·감금 사건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경남 창원에서도 20대 남녀가 현지 범죄조직에 감금됐다가 가상화폐로 몸값을 지불하고 풀려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됐는데요. 이러한 사건들이 전국적으로 발생하면서 정부 차원의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지난 13일 창원중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7월 26일, 20대 남녀 2명이 '고수익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다'는 브로커의 말에 속아 캄보디아로 출국했습니다.
이들은 현지에 도착한 후 범죄 조직원들에게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긴 채 감금됐습니다.
범죄 조직은 피해자 가족들에게 1,600만원에 달하는 몸값을 가상화폐로 요구했고, 이를 전달받은 후에야 피해자들을 풀어주었습니다.
두 사람은 풀려난 후 지난 8월 4일 귀국해 같은 달 13일 경찰에 피해 사실을 신고했습니다.
제주에서도 유사 사건 발생
제주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제주서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7월 9일, 20대 남성 A씨가 캄보디아 현지 범죄조직에 감금됐다는 가족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A씨는 경찰의 현지 공조 수사 요청 이후인 지난 8월 10일 귀국했습니다.
경찰에서 A씨의 부모는 "몸값으로 3,500만 원 상당의 가상화폐를 요구받았고, 이를 지불해 풀려났다"고 경찰에 진술했습니다.
또한 지난 7월 경남 지역의 또 다른 20대 남성도 해외 취업 등을 미끼로 한 유인에 속아 캄보디아를 방문했다가 감금된 후 탈출해 귀국한 뒤 경찰에 신고한 사례도 있습니다.
이 남성 역시 현지에서 여권과 휴대전화 등을 빼앗긴 채 감금되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캄보디아에서는 경북 예천 대학생이 납치·살해된 사건이 발생했으며, 경북 상주, 충북, 광주광역시 등 전국 각지에서도 "캄보디아로 출국한 가족이 연락두절됐다"는 취지의 신고가 경찰에 다수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경찰은 신고사례를 취합하는 등 사태 파악 및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대통령실은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상 범죄가 잇따르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13일 오후 4시 30분 첫 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이 TF는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주재하며 외교부·법무부·경찰청 등 관련 부처 담당자들이 참여합니다.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실태를 공유하고 캄보디아 당국의 협조 강화를 포함한 실질적 대책을 강구할 예정입니다.
이번 사건들의 공통점은 '고수익 아르바이트'나 '해외 취업' 등을 미끼로 한국인들을 유인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20대 청년층을 노리는 경우가 많아 해외 취업 정보를 접할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부와 경찰은 캄보디아 여행 시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의심스러운 해외 취업 제안에 응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