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인구 급감, 70대 이상에도 추월당해
한국의 20대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70대 이상 노령층보다도 적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장기간 지속된 저출산 고령화의 직접적인 결과로, 한때 성인 연령대 중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했던 20대가 이제는 가장 소수 세대로 전락했습니다.
12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20대 인구는 630만 2,00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9만 3,000명이 감소한 수치로, 전 연령대 중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
10세 미만(-19만 2,000명)과 40대(-16만 9,000명)의 감소폭을 넘어서는 수준입니다.
20대 인구는 2020년 703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4년째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년 14만∼21만명 수준의 감소폭을 유지하고 있으며, 외국인 인구 증감에 따라 진폭이 큰 편이지만 하락 추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1925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 발생한 역전 현상
이러한 급격한 감소로 인해 작년 20대 인구는 70대 이상(654만 3,000명)보다도 적어졌습니다. 20대 인구가 70대 이상을 밑돈 것은 1925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이로써 20대는 사상 처음으로 성인 연령대 중 인구가 가장 적은 '마이너' 세대가 되었습니다.
작년 연령별 인구 현황을 살펴보면, 50대가 871만 3,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780만 9,000명), 60대(779만 1,000명)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0여년 전 20대가 전 연령대 중 가장 인구가 많았던 상황과는 완전히 대조되는 모습입니다.
노동시장에서도 약화되는 20대 존재감
20대의 노동시장 상황도 악화되고 있습니다. 지난 8월 20대 고용률은 60.5%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p) 하락했습니다.
작년 8월(61.7%) 이후 12개월째 하락·보합을 반복하면서 단 한 번도 반등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같은 달 20대 실업률은 5.0%를 기록하며 1.0%p 상승했습니다.
양질 일자리 부족과 경력직 선호 현상이 20대의 노동시장 진입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20대가 사회에서 자리 잡기 어려워지면 혼인 건수 감소, 출산 기피 등으로 이어져 인구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