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향연, 전국 사투리가 한자리에
한글날을 맞아 우리말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특별한 축제가 열립니다.
8일 말모이축제 운영위원회는 제7회 '말모이 축제'가 9일 서울 종로구 마로니에공원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고 전했습니다.
전국의 사투리와 지역 예술이 어우러진 이번 축제는 약 한 달간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입니다.
우리말의 다양성을 한자리에서 만나는 특별한 기회가 될 이번 행사는 9일 오후 1시 30분 개막식을 시작으로 마로니에공원 일대에서 펼쳐집니다. 특히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 제주도, 전라도, 충청도, 이북 등 7개 지역의 예술단체들이 참여해 각 지역만의 독특한 언어적 색채와 문화적 특색을 무대 위에서 선보입니다.
다채로운 체험과 공연의 장
축제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관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사투리 대회부터 전통놀이, 우리말 체험 놀이, 실내외 전시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콘텐츠로 가득합니다.
제주말부터 이북말까지 다양한 방언이 문학, 미술, 사진, 캘리그라피, 공연예술을 통해 표현되는 모습은 우리말의 풍요로움을 실감하게 해줄 것입니다.
특별히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문학 '시' 공모전도 함께 개최됩니다.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시로 표현하고 공유하는 이 행사는 한글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지역별 특색 담은 연극 릴레이
말모이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연극 공연입니다.
각 지역의 극단들이 릴레이로 무대에 오르며, 지역 언어와 문화를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개막작으로는 경기도 극단 늑대의 '나도향 소설전'과 전라도 극단 수평선의 '서울 가는 길'이 관객들을 맞이합니다. 이어서 강원 극단 백향씨어터의 '미스터쉐프', 경상도 공연연구소더하다의 '내 고운 벗님', 충청도 극단 청춘좌의 '국희 이야기', 제주 극단 예술공간오이의 '혀'가 차례로 무대에 오릅니다.
대장정의 마지막을 장식할 폐막작은 이북 공연집단 강철무지개의 '어는 골목 모퉁이의 단단씨'입니다.
모든 공연은 후암스테이지와 열린극장에서 진행되며, 관람을 원하는 분들은 놀티켓을 통해 예매할 수 있습니다.
말모이 축제의 의미와 미래
'말모이 축제'는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시작되어 올해로 7회를 맞이했습니다.
세종대왕의 한글 반포를 기념하는 한글날에 맞춰 매년 개최되는 이 축제는 한반도 전역의 언어적, 지리적, 문화적 특색을 집약한 우리말 잔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자순 운영위원장은 "말모이 축제는 연극인 중심으로 우리말에 대한 사랑을 확산하기 위해 시작됐다"며 "서울에서 출발했지만 전국으로 확대하고, 내년에는 신춘문예 영역도 추가해 지역 언어의 특색을 찾을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축제 운영위원회는 "한글날을 계기로 우리말의 가치와 예술성을 함께 느끼길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우리 언어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체험할 수 있는 이번 축제는 한글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일깨우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