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7일(월)

서울시, 추석 맞아 취약계층 어르신 3만 5000명에 '특식' 대접... "외롭지 않고 따뜻하게"

서울시, 추석맞이 취약계층 어르신 3만 5천여 명에게 특별한 선물


추석 명절, 가족들과 함께 풍성한 음식을 나누는 시간이지만 홀로 명절을 보내는 어르신들에게는 더욱 외로운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이런 어르신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채워드리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6일 서울시는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맞아 무료급식을 제공받는 취약계층 어르신 3만 5,000여 명에게 특식을 대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특식 제공 대상은 저소득 어르신 급식 지원을 받는 3만 3,000여 명과 지난 4월부터 시작된 '서울밥상' 지원 어르신 1,700여 명을 포함합니다.


서울시 제공


명절 음식으로 채워진 특별한 식탁


이번에 제공된 특식 메뉴는 평소에는 단가가 높거나 조리 과정이 복잡해 제공하기 어려웠던 추석 명절 음식 위주로 마련되었습니다.


서울시는 특식을 대접하면서 어르신들의 안부도 함께 살펴, 명절을 홀로 지내는 어르신들의 건강을 확인하고 외로움도 달래드렸는데요.


서울시의 저소득 어르신 급식 지원은 형편이 어렵거나 부득이한 사정으로 끼니를 거르는 만 60세 이상 어르신에게 경로식당에서 주 6회 무료급식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에게는 도시락을 주 7회 직접 배달하고, 자택에서 조리가 가능한 어르신들에게는 주 2회 밑반찬을 배달해 건강을 챙기고 있습니다.


서울시 제공


늘어나는 수요에 대응하는 '서울밥상' 사업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무료급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는 올해 4월부터 '서울밥상' 사업도 운영 중입니다.


이 사업은 기존 무료급식을 지원받지 못하는 60세 이상 저소득층 어르신들에게 도시락은 주 5회(7식), 밑반찬은 주 2회(2식) 배달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서울시는 추석뿐만 아니라 설, 어버이날, 석가탄신일, 복날, 노인의 날, 성탄절 등 연 7회에 걸쳐 특식을 대접하고 있어 명절과 특별한 날에도 어르신들의 식사를 챙기고 있습니다.


특식 제공 외에도 서울시는 독거 어르신, 노숙인·쪽방 주민, 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의 안전하고 평안한 명절을 위해 추석 연휴 기간에도 끊김없는 돌봄서비스를 펼치고 있습니다.


연휴 시작 전날인 2일, 노인맞춤돌봄 대상자를 중심으로 1차 안부 확인을 완료했고, 연휴 직후인 10일에는 전화 또는 방문을 통해 어르신들의 근황을 한 번 더 살필 예정입니다.


건강 이상 등 더 세심한 케어가 필요해 집에 사물인터넷(IoT) 돌봄서비스를 설치한 어르신 1만 3,000명을 대상으로는 응급 상황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가동 중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시설 거주, 거리 노숙인에 대한 관리도 강화됩니다. 명절 연휴 끼니를 거르지 않도록 9월 5일부터 8일까지는 노숙인시설(32곳)에서 기존 1일 2식에서 3식으로 식사 횟수를 늘려 제공합니다.


만약의 응급 상황에 대비해 노숙인시설은 24시간 운영 중입니다.


이외에도 긴 추석 연휴를 홀로 보낼 고독사 위험군 등 7만 5,000여 사회적 고립 위험가구는 우리동네돌봄단이 2일과 10일 두 차례 안부를 확인하고, 고위험군 추정 가구는 3일부터 9일까지 집중적으로 안부를 재차 확인 중입니다.


추석 전후로 복지관(종합, 노인, 장애인)에서는 명절 특식 나눔, 송편 빚기, 민속놀이 체험 행사 등을 마련해 지역 내 취약계층의 사회적 고립을 막고 명절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장애인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명절 기간 활동지원급여를 기존 12시간에서 36시간까지 추가로 지급하는 세심한 배려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명절이 평소보다 더 외로울 수 있는 어르신 등 취약계층에 대한 식사는 물론 따뜻한 안부 확인으로 외로움을 달래고 건강 이상 없이 안전하게 연휴를 보내도록 꼼꼼하게 챙기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서울시의 추석맞이 특식 제공과 돌봄 서비스 강화는 명절이 더욱 외롭고 쓸쓸할 수 있는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따뜻한 위로와 관심을 전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