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피부세포 난자 생성 기술 개발
한국과 미국의 공동 연구진이 인간의 피부 세포를 활용해 난자를 생성하고, 이를 정자와 수정시켜 초기 배아를 만드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습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불임 부부와 동성 커플들에게 자신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새로운 희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일(현지시간) BBC와 가디언 등 해외 언론 보도에 따르면, 차의과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이러한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먼저 피부 세포에서 핵을 분리한 후, 이 핵을 유전 정보가 제거된 기증 난자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핵에는 인간을 구성하는 모든 유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데, 기증 난자에 삽입된 후 세포 분열 과정을 통해 염색체 46개 중 절반인 23개를 제거하도록 유도했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난자와 같이 절반의 염색체만을 보유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과정입니다.
82개 기능성 난자 생성, 초기 배아 발달 확인
연구팀은 총 82개의 기능성 난자를 생성한 후 정자와 수정시켰으며, 일부가 초기 배아로 발달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오리건 보건과학대학교 배아세포·유전자 치료 센터를 이끌고 있는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일을 이뤘다"고 연구 성과를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아직 완성 단계에는 도달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생성된 초기 배아는 6일 이상 발달하지 못했으며, 성공률도 9%에 그쳤습니다.
세포 분열 과정에서 난자가 어떤 염색체를 제거할지가 무작위로 결정되어 이를 조절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또한 정상적인 생식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색체 DNA 재배열 과정도 누락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미탈리포프 교수는 "기술을 완벽하게 다듬어야 한다"면서 "결국 미래는 이 방향으로 갈 것입니다. 아이를 가질 수 없는 환자가 계속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향후 전망을 밝혔습니다.
불임 부부와 동성 커플에게 새로운 희망
이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수백만 명의 불임 커플과 동성 커플들이 두 사람 모두와 유전적으로 연결된 친자식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립니다. 특히 노화로 인해 더 이상 사용 가능한 난자가 없는 고령 여성이나 정자 생산이 부족한 남성, 암 치료 과정에서 생식 능력을 상실한 환자, 유전적 문제로 정상적인 난자나 정자를 생성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