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청년 고용난 해결 위한 '신규 일자리 창출' 강조
이재명 대통령이 청년 고용난 해결을 위해 기업들에게 특별한 요청을 했습니다.
지난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청년 고용난의 고비를 넘는 데 정부와 힘을 합쳐 달라"며 기업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촉구했습니다. 특히 경력직 채용보다 신규 일자리 창출에 나서줄 것을 당부했는데요.
이 대통령은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전체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데 청년층 취업자는 16개월째 감소세"라며 "하반기 청년 고용시장 전망 또한 현재로서는 결코 밝지 않다"고 현 상황의 심각성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정부는 청년이 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다층적 지원 대책을 추진하고 노동시장 진입장벽을 낮추는 일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청년 일자리 창출, '윈윈' 전략으로
이 대통령은 기업들을 향해 "청년 신규 일자리 창출을 통해 청년도, 국가도, 기업도 모두가 '윈윈'하는 경제성장의 새 물꼬를 틀자"는 간곡한 당부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국무회의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지방에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청년 고용을 늘리는 데 인센티브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하자, 이 대통령은 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예전에는 좋은 자원을 뽑아 훈련을 시켰는데 요즘은 힘든 데서 고생하며 역량이 생기면 경력직으로 뽑아버린다"며 현재 채용 트렌드의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이번에 기업에 부탁해서 청년들의 신입 채용을 해볼 생각인데 선의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특히 지방의 경우 지원이나 혜택이 가능하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청년들이 취업시장에 첫발을 내딛는 것 자체가 어려운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이 대통령의 청년 일자리 강조는 이번 주 청년 정책에 집중하겠다는 대통령실의 기조와도 일맥상통합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번 주가 끝나고도 대통령 5년 활동 중 청년의 절망의 희망으로 바꾸는 데 응답하는 중장기 계획을 같이 가져가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은 19일 서울에서 청년 타운홀 미팅을 개최하는 등 청년 세대와의 소통에도 적극 나설 예정입니다.
국가균형발전, '5극 3특' 전략 가속화
한편,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날 국무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강한 의지도 표명했습니다.
"대한민국의 가장 큰 과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이고 이를 위한 가장 큰 토대가 균형 발전"이라며 "'행정수도 세종'의 완성은 균형 발전의 주춧돌"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부족한 자원을 한군데에 투자하는 불균형 성장 전략으로 수도권 1극 체제가 만들어졌지만 이제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며 "지금 같은 방식이면 수도권은 미어터지고 지방은 소멸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이에 따라 '5극 3특' 전략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국무회의에서는 균형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도 논의됐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방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대한 세제·재정 지원 방안 검토를 지시하며 "기업 입장에서 어떻게 하면 지방으로 가서 합리적인 경쟁력을 갖게 될지 수요자 입장에서 잘 판단하자"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게는 '햇빛연금'을 적극 추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농촌은 기회의 땅이고 그 엄청난 땅이 모두 태양광발전 부지"라며 "여기서 태양광 에너지를 대규모 발전하면 반드시 (수익의) 일정 지분을 주민들에게 보장하도록 제도화하면 좋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에게는 "정책금융 이자를 (수요자가) 지방으로 가면 더 저렴하게 해준다든지 하는 방법이 불가능하냐"며 지방 금융 활성화 방안 검토도 주문했습니다.
이처럼 이재명 대통령은 청년 고용난 해결과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두 가지 핵심 과제를 동시에 추진하며, 지속가능한 국가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청년들의 노동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업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요청한 점이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