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빵 990원 판매한 '슈카월드', 자영업자 반발에 사과
경제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가 소금빵을 990원에 판매하는 팝업스토어를 운영해 화제를 모았지만, 자영업자들의 거센 반발에 결국 사과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361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인기 경제 유튜버 전석재(슈카월드)는 빵값 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의도와 다르게 해석되었다며 유감을 표했습니다.
지난달 31일 슈카월드는 방송을 통해 "싼 빵을 만들면 좋아할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었다. 죄송하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한 번도 없다. 나도 자영업자다. 빵값의 구조적인 문제를 이야기하려던 것인데 다른 방향으로 해석돼 안타깝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기분 상하신 분들이 있다면 오해가 있었던 것 같다"며 재차 사과의 뜻을 전했습니다.
빵플레이션 대응 위한 저가 팝업스토어 운영
이번 논란은 슈카월드가 지난달 30일 서울 성수동에서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를 열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팝업스토어에서는 소금빵, 베이글, 바게트 등을 990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판매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식빵 1990원, 명란바게트 2450원, 단팥빵 2930원, 치아바타 3490원, 복숭아 케이크 1만8900원 등 총 35종의 빵과 케이크를 시중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선보였습니다.
슈카월드 측은 이러한 저가 판매가 가능한 이유로 "산지 직송으로 원가를 낮추고, 인건비 절감을 위해 빵 모양을 규격화·단순화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마진율이 아닌 마진액으로 계산해 원가가 올라도 소비자가격에는 덜 반영되도록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기획이라는 취지였습니다.
제빵업계와 소비자들의 다양한 반응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제빵업계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한 빵집 사장은 "소금빵 원가가 1000원인데 어떻게 990원에 팔 수 있느냐"며 불만을 토로했습니다.
또한 "판매가에 거품이 낀 게 아니라 유통 구조에 거품이 끼어 있는 것인데, 마치 자영업자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온라인에서도 다양한 의견이 오갔습니다. 일부 누리꾼들은 "누가 폭리를 안 당했다고 말할 수 있느냐"는 반응을 보였고, 빵값 인상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임대료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건물 임대료만 합리적이라면 이렇게 비싸지 않았을 것"이라며 "결국 장사하는 사람도, 소비자도 건물주와 은행에 돈을 바치는 구조"라는 비판도 제기되었습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국내 빵값이 비싼 이유로 높은 인건비, 복잡한 유통 구조, 밀 수입 의존도를 꼽았습니다. 실제로 제빵업계의 인건비 비율은 전체 원가의 28.7%로, 식품 제조업 평균(8.1%)의 3배를 넘는 수준입니다.
또한 우리나라는 밀의 99%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제 곡물 가격과 환율 변동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