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난 전기차를 수습하던 견인 차량 기사가 감전을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지난 7일 MBC '뉴스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지난 5일 오후 5시 30분께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에서 SUV 전기차가 인도에 있는 가로수와 자전거 거치대를 연달아 들이 받는 사고가 발생했다.
출동한 소방에 구조된 40대 운전자는 경찰에 차량 급발진을 주장했다.
이로부터 2시간 30분 후 사고 수습을 위해 견인 차량이 현장에 도착했다.
견인 기사는 사고 전기차 운전석에 앉아 시동을 걸다가 갑자기 마비 증상을 보였다.
견인 기사는 전기에 감전됐다 119로 신고했고, 병원으로 이송돼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고 있다.
동료 견인 기사는 "(견인) 기사들이 통상적으로 차에 타게 되는 이유는 차를 싣고자 기어 중립을 만들기 위해서다"라고 설명했다.
차량 제조사와 전문가 모두 "사고가 난 전기차의 수습 과정에서 감전이 보고된 것은 처음"이라면서 "전기차에는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된 만큼 사고 위험성은 항상 존재한다"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전기차의 경우 사고가 발생하면 소방에 연락해 누전 여부를 확인하고 절연 성능이 있는 안전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인명구조가 아닌 사고 차량 견인 등에서 감전 방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경찰은 MBC에 사고 차량의 급발진 여부와 함께 감전 원인에 대해서도 조사에 착수했으며, 차량 제조사도 원인 규명에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미국 소방관들은 전기차 뒷 트렁크에서 전기를 차단하는 시스템에 대해 교육받고 있다. 우리도 이런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비가 오는 날 무서워서 못 타겠다", "별일이 다 일어난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