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가 2025학년도 입시부터 학교폭력 징계 이력이 있는 지원자에게 최대 20점까지 감점하는 방안을 도입한다.
지난 21일 김동원 고려대 총장은 취임 1주년을 기념해 교내 SK 미래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날 김 총장은 올해 치러질 2025학년도 대입정시부터 "심각한 학교폭력(학폭)에 대해선 최대 20점의 감점을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장은 "고려대는 개교 이래 기능적 지식인보다는 역사에 획을 긋는, 공동체 의식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 왔다"며 "학폭으로 심각한 징계를 받은 학생은 고려대의 인재상과 다르기에 이런 기준을 마련했다"고 했다.
이어 "0.1점 소수점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는데 20점이면 사실상 입학이 불가능한 수준"이라며 강조했다.
고려대는 2024학년도 정시 인문·자연 일반전형에서 수능성적만 반영해 총점 1,000점을 배점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수험생이 받은 총점에서 학폭 징계 이력이 있을 때 20점을 감점하겠다는 설명이다.
고려대는 지난 20일 교무위원회를 열고 2025학년도 입시에서 학교폭력으로 8호(강제전학), 9호(퇴학) 조치를 받은 정시 전형 지원자에 대해 최종 점수 1,010점 만점에 20점까지 감점할 수 있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오는 2026학년도부터는 수시 지원자에게도 '공동체 역량' 영역에서 이러한 제도를 반영할 방침이다.
다만 김 총장은 "젊은 날에 실수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친구와 다투는 것 같은 경미하거나 자질구레한 학폭까지는 불이익을 줄 생각이 없다"며 8호, 9호에 해당하는 징계 이력이 있는 심각한 학폭의 경우에만 해당한다고 전했다.
앞서 교육부는 2026학년도 입시부터 학폭 기록을 의무적으로 반영하도록 했다. 이에 고려대가 1년 먼저 선제적으로 도입한 것이다.
이와 관련해 김 총장은 "고려대가 교육부 방침보다 선제적으로 학폭 문제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날 그는 2025학년도 신설하는 '자유전공학부대학'에 총 415명의 신입생을 선발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는 전체 입학 정원의 10분의 1 수준이다.
현재 90명 정원의 자유전공학부를 운영하고 있는데, 현 정원에서 4배 이상 늘려 확대 개편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총장은 "각 대학에 자율적으로 자유전공 참가 여부를 물었고 상당한 호응을 얻었다"면서도 인기 학과 쏠림 방지를 위해 "비인기학과 보전 차원에서 문과대학은 참여하지 않고, 이과대학은 부분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