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다가오면서 주4일제 근무와 관련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지난 4일 '주4일제 네트워크'에 따르면 주4일제 도입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 찬성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엠브레인에 의뢰해 올해 1월 14~16일 19세 이상 임금 노동자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67.3%가 주4일제 도입에 찬성했다. 정규직은 68.1%, 비정규직은 66.7%가 찬성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9월 임금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했던 조사 때의 찬성률인 61.4%보다 오른 수치였다. 지난 2021년 한국리서치가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했던 조사에서 찬성 응답률은 51.0%였다.
주4일제 네트워크는 지난달 29일 국회 앞에서 출범식을 갖고 주4일제 법제화, 정부의 노동시간 단축 로드맵 수립 및 시행, 국가노동시간위원회 설치·운영 등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공약으로 제안했다.
정치권에서의 논의도 활발해지는 중이다.
지난달 2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직장인 정책간담회'를 열고 주4일제 도입을 위한 '주 4.5일제'를 도입, 2030년까지 노동 시간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시간 이하로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최소 휴식 시간을 도입해 1일 근로 시간 한도를 설정하고, 포괄임금제 금지를 근로기준법에 명문화하겠다고도 덧붙였다.
다만 실제로 주4일제를 시행하는 데는 많은 난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직무에 따라 주4일제 도입이 어려운 기업이 있다. 특히 저임금 장시간 노동자들이 주로 일하고 있는 전통 제조업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도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또 여력이 되지 않는 기업에서 주4일제를 시행할 경우 인건비 절감 차원의 임금 삭감이 불가피해 되려 근로자의 반발을 살 수도 있다.
따라서 주4일제 도입이 총선용이 아닌 장기적 관점에서 실험하고 평가한 뒤에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