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익, 항공권, 비자 등을 지원한다는 SNS의 구인 글을 보고 덜컥 지원했다가 큰 위험에 놓일 수 있다.
고수익 일자리를 미끼로 해외에 데려가 감금·폭행이나 박을 통해 보이스피싱, 불법 온라인도박과 같은 불법 행위를 하도록 강요하는 방식의 취업 사기 피해가 늘고 있다며 정부가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8일 외교부에 따르면 최근 미얀마와 라오스, 태국 3개국이 메콩강을 끼고 접하는 산악지대인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을 중심으로 국민을 대상으로 한 취업 사기가 부쩍 늘고 있다.
2021년부터 현재까지 신고가 접수된 피해 건수는 55건으로 피해자는 모두 140명이었는데, 2021년과 2022년 각각 4명에 불과했던 피해자가 지난해 94명으로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 한 달간 38명의 피해 신고가 접수됐다. 한 달 동안 이미 지난해의 40%를 넘긴 셈이다.
다행히 피해를 신고한 사람들 모두 구출돼 심각한 인명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아직 신고하지 못하고 현지에 머무는 피해 사례도 더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사기 수법을 보면 온라인 커뮤니티나 SNS에 '고수익 해외 취업'을 내세워 항공 티켓 제공, 숙식 보장 등을 미끼로 현지로 유인한 뒤, 지원자가 현지에 도착하면 여권과 휴대전화를 빼앗는다.
이어 폭행이나 협박을 가해 보이스피싱이나 투자사기 등 불법 행위를 강요하는 식이다.
일례로 20대 남성 A씨는 지난해 인터넷에서 동남아 지역에서 일할 근로자를 구하는데 월급 400만원에 숙식까지 보장한다는 글을 보고 갔다가 불법 도박 관련 일을 강요받았다.
다행히 가족들과 연락이 닿아 감금 4개월 만에 다른 한국인 피해자 18명과 함께 구출됐다.
이들이 구금됐다가 풀려난 미얀마 타칠레익은 카지노, 유흥업소 등이 많은 우범지역으로 이곳에 우리 영사 직원이 방문하려면 미얀마 외교부를 통해 사전 승인 절차를 밟아야 한다.
라오스 골든 트라이앵글 경제특구의 경우 중국 카지노 업체가 장기 임차계약을 맺고 자치 지위를 인정받고 있어 라오스 공안과 중국 공안도 진입이 제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에서 취업 사기를 당하는 한국인들이 대부분 태국을 거쳐 들어가는 점을 고려해 다음 달부터 태국과 라오스 접경 치앙센 국경검문소와 태국과 미얀마 접경 매싸이 국경검문소 2곳에 여행경보 2.5단계에 해당하는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앞서 지난해 11월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을 포함한 미얀마 일부 지역과 이달 라오스 골든 트라이앵글 경제특구 지역에 대해 각각 '여행금지'에 대항하는 여행 경보 4단계를 발령했다.
여행금지 지역에 체류하려면 예외적 여권 사용 허가를 받아야 하며 허가 없이 방문하는 경우 여권법 위반 혐의로 처벌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