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황기현 기자 = '헌신'이라는 단어가 생각나는 모습이었다.
아시안게임 축구 2연패라는 위업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해낸 풀백들이 있었기에 달성할 수 있었다.
1일(한국 시간) 한국 축구 대표팀은 인도네시아 보고르 파칸사리 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결승전서 일본을 2-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날 경기의 주인공은 선제골을 넣은 이승우와 결승골의 황희찬, 그리고 '슈퍼스타' 손흥민이었다.
하지만 이들의 득점 뒤에는 궂은일을 마다하지 않고 묵묵히 뛰어준 수비수들의 활약이 있었다.
특히 양쪽 풀백은 김학범 감독의 주문을 충실히 수행하며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은 체력을 선보였다.
왼쪽 풀백을 맡은 김진야는 이번 대회에서 전 경기 풀타임이라는 어마어마한 스케줄을 소화해냈다.
연장전도 두 번이나 소화하는 극한 일정이었지만, 지친 기색 없이 그라운드를 종횡무진 누볐다. 활동량이 너무 많았던 탓에 일본과의 연장전에서는 다리에 쥐가 나기도 했다.
오른쪽 풀백 김문환도 마찬가지. 그는 탄탄한 수비력과 적절한 오버래핑으로 대회 내내 우측면에 안정감을 불어 넣었다.
베트남과의 4강전에서는 왼쪽 윙으로 포지션을 변경해 잠시 활약했다.
놀라운 사실은 풀백 포지션을 훌륭히 소화해낸 두 선수가 원래 '공격수' 출신이라는 것이다.
김진야는 불과 지난해까지만 해도 윙 포워드를 보는 선수였다. 전 인천 감독 이기형이 수비수를 권유해 이번 시즌부터 풀백 혹은 윙백으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역시 윙 포워드였던 김문환도 지난 시즌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난 故 조진호 감독의 권유에 윙백으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하지만 윙백은 풀백보다 공격적인 역할이기에 그는 사실상 이번 대회 내내 익숙하지 않은 포지션에서 뛴 것이나 다름없다.
국제대회 수준의 경기에서 포지션 변화는 리스크가 크다. 선수가 새 역할에 적응하지 못하면 팀 전체의 밸런스가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두 선수는 낯선 역할을 묵묵히, 훌륭하게 소화해냈다. 이번 우승에서 김진야와 김문환의 이름을 빼놓을 수 없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