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인구 동향에 긍적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난 29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8월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출생아 수가 18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습니다. 동시에 혼인 건수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는데요.
올해 1∼8월 누계 출생아 수는 16만8천671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1만708명(6.8%) 증가했습니다. 1∼8월 출생아 수 증가는 2015년(1.3%) 이후 10년 만의 현상이며, '황금 돼지띠'로 불렸던 2007년(8.2%)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8월 단월 출생아 수는 2만86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4명(3.8%) 늘어났습니다. 이는 작년 7월부터 시작된 증가세가 1년 2개월째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다만 1981년 통계 작성 시작 이후 기준으로는 2023년(1만8천974명), 2024년(2만103명)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수준입니다.
8월 합계출산율은 0.77명을 기록해 전년 동월보다 0.02명 상승했습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출산할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모의 연령별 출산율을 가임 여성 1천명당 출생아 수로 분석한 결과, 30대 후반(35∼39세)이 50.9명으로 전년 대비 4.9명 크게 증가했습니다.
반면 30대 초반(30∼34세)은 69.9명으로 0.3명 감소했고, 25∼29세(20.1명)와 40세 이상(4.1명)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24세 이하는 2.1명으로 0.1명 줄어들었습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지역별로는 서울·부산을 포함한 12개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한 반면, 충북·충남 등 5개 시도에서는 감소했습니다.
출산 순위별 비중을 살펴보면, 첫째아 비중이 62.9%로 2.0%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반면 둘째아(31.0%)와 셋째아 이상(6.0%)은 각각 0.9%포인트, 1.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혼인 건수도 긍정적 변화를 보였습니다. 8월 혼인 건수는 1만9천449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천922건(11.0%) 증가했습니다. 이는 같은 달 기준 2017년(2만68건)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혼인 건수는 작년 4월 이후 1년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이혼 건수는 7천196건으로 전년 대비 420건(-5.5%) 감소했습니다. 이는 같은 달 기준 2008년(6천364건) 이후 17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