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5일 국내 금 가격은 1g당 22만7천원으로 역대 최고 종가를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22일 오후 3시 30분 기준, 전일 대비 5.47% 하락한 19만7천490원으로 떨어지며 단기 급락세를 보였습니다.
연이어 상승하던 국제 금값 또한 하락세로 돌아섰습니다. 21일(현지 시간)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온스(약 28g)당 4,115.26달러로 전일 대비 5.5% 떨어졌고, 뉴욕상품거래소 금 선물(12월물) 종가 역시 4,109.1달러로 5.7% 급락했습니다. 이는 2020년 8월 이후 최대 일간 낙폭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을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고 있습니다.
우선 오는 31일부터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기간 중 미·중 정상회담 가능성으로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여기에 중동 지역 긴장 완화로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줄었고, 그간 수익을 낸 투자자들의 대규모 차익 실현 매도세가 겹쳤습니다.
또 달러 강세 전환 역시 금값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달러로 거래되는 금의 매력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국내 요인도 있습니다. 최근 해소된 '김치 프리미엄' 영향입니다. '김치 프리미엄'은 국내 시세가 해외보다 높은 현상을 뜻하는데, 10월 초까지 20% 가까이 높았던 국내 금값이 차익 실현 물량 출회와 함께 조정받은 것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financialexpress
다만 일각에서는 "다음 주 예정된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될 경우 금값이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지금이 오히려 살 타이밍"이라는 말도 나옵니다.
하지만 '투자 왕초보'는 어디서, 어떻게 금을 사야할 지 몰라 갈팡질팡 하고 있습니다.
최근 투자 열기가 모이고 있는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도 좋은 투자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국내 금 ETF는 매매차익에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이에 절세계좌나 증권사 금현물 계좌를 통한 직접 투자가 세금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뉴스1
KB증권, NH투자증권, SK증권, 대신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선물, 키움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현대차증권 등 13개 증권사에서 금현물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금현물 계좌의 경우 실물(골드바)로 인출하지 않으면 부가가치세(10%)가 면제됩니다. 별도의 세금이나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셈입니다. 또한 1g 단위로 금을 사고팔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금 국내 시세가 국제 시세보다 높을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KRX 금 현물시장에 투자된 금은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보호되지 않아 원금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반드시 본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