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헌정 사상 첫 여성 총리로 선출된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총리가 21일 한일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담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지난 21일 다카이치 총리는 도쿄 총리 관저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한일 관계를 미래 지향적이고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고 싶다"며 이같은 입장을 밝혔습니다.
과거 무라야마 담화에 대한 비판적 발언과 '(한국과 중국이) 기어오른다'는 강경한 표현을 사용했던 그였지만,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한일 관계 경색 우려를 해소하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다카이치 총리는 한국에 대해 "일본에 중요한 이웃이고, 국제사회의 다양한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파트너"라는 기존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또한 "한일 관계의 중요성은 한층 더 커졌다고 생각하고, 이재명 대통령과 제대로 의사소통해 가겠다"며 양국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 화장품을 사용하고, 한국 김을 좋아하며, 드라마도 보고 있다"고 언급하며 한국에 대한 친근감을 표현했습니다.
GettyimagesKorea
경제·물가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한 다카이치 총리는 자신이 이끌 내각을 '결단과 전진의 내각'으로 명명했습니다. 그는 "강한 일본 경제를 만들어 외교·안보에서 일본의 국익을 지켜내겠다"고 선언하며, 이를 위해 "몸을 깎는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총리 및 각료가 국회의원 수당을 초과하는 급여를 받지 않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다카이치 총리는 첫 각료회의에서 경제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고 언급하며 "물가 상승 대응을 철저히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휘발유에 적용되는 임시 세율의 조속한 폐지와 겨울철 전기·가스 요금 지원 방침도 확인했습니다.
GettyimagesKorea
일본은행의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단순한 비용 상승이 아니라 임금 상승에 기반해 지속가능한 2% 물가상승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이 운용되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동시에 "경제 정책의 최종 책임은 정부에 있지만 통화정책의 구체적 수단은 일본은행이 결정한 사안"이라며 정부와 일본은행 간의 긴밀한 조율과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야당과의 정책 협력에도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 다카이치 총리는 "소득세 비과세 기준인 '103만 엔의 벽'을 상향 조정해 실질 소득을 늘리고 가계 부담을 줄이겠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자민당의 기본 정책과 모순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각 당파의 정책 제안을 받아들여 긍정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외교 분야에서는 이달 말 개최되는 동남아시아연합(ASEAN),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다수의 국가 정상들과 직접 얼굴을 맞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평가하며 기대감을 표했습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조기 정상회담 실현 의지를 밝히며 "미국과의 관계를 한층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싶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미국과 일본의 관계는 일본 외교·안보 정책의 중심축"이라며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