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음식 소비 패턴이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한식당보다는 길거리 포장마차, 카페, 편의점이 새로운 '맛집 코스'로 각광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20일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5년 7월까지 외국인의 국내 신용카드 소비 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외국인 관광객의 음식 소비가 전통 한식에서 커피·빵·편의점 간식 등 일상 음식 중심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뉴스1
과거 외국인들이 선호했던 김치·불고기·비빔밥 등의 전통 메뉴와 달리, 최근에는 라면·김밥·길거리 간식 등 '한국인의 평범한 한 끼'가 새로운 여행 동기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카드 결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최근 7년간 외국인 소비에서 연평균 성장률이 가장 높은 메뉴는 아이스크림(35.0%), 편의점 음식(34.0%), 와플·크로플(25.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외국인들에게 친숙한 커피·빵·햄버거 소비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외국인 카드 결제 건수를 살펴보면, 카페 890만 건, 베이커리 300만 건, 햄버거 230만 건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각각 29.5%, 36.2%, 38.2%로 모두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사진 = 인사이트
한국에서는 한정판·협업 제품, 지역 특산물 토핑 등 '한국식 변주'가 경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햄버거 결제 상위 10개 브랜드 중 6곳이 국내 프랜차이즈였으며, 글로벌 브랜드들도 한국 전용 메뉴와 매장 디자인을 선보이며 외국인 소비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편의점은 외국인들에게 단순한 쇼핑 공간이 아닌 '여행 중 식사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부터 2025년 7월까지의 소셜 분석 결과, 편의점 관련 게시물의 40.1%가 음식 키워드와 연결되었으며, 주요 키워드는 라면(14.1%), 커피(10.5%), 과자(7.0%) 순이었습니다. 실제로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편의점 카드 결제 건수는 약 1300만 건으로 K-푸드 관련 업종 중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한국인에게는 평범한 일상식이지만 외국인에게는 현지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특별한 메뉴로 인식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외국인 관광객들이 K-푸드 쇼핑을 마친뒤 계산대 앞에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 뉴스1
올해 7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소비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메뉴는 국수·만두(55.2%), 감자탕(44.0%)으로 나타났으며, 전통 간식류 소비도 76.9% 증가했습니다.
특히 해외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유행한 '꿀떡 시리얼'은 30만 건 이상의 '좋아요'를 기록하며 국내 식품업계의 신제품 출시로 이어지기도 했습니다.
이미숙 한국관광공사 관광데이터전략팀장은 "최신 트렌드가 전 세계적으로 실시간 공유되면서 한국인의 일상이 외국인에게 새로운 경험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변화를 선제적으로 포착해 관광정책과 인바운드 마케팅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