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코리아가 고객들로부터 받은 선불충전금을 운용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최근 6년간 누적된 선불충전금 규모는 2조 6천억 원에 달하며, 이를 통해 얻은 이자 및 투자 수익은 408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회 강민국 의원실이 오늘(19일) 금융감독원 등으로부터 받은 '스타벅스코리아 선불충전금 규모 및 현금성 자산 운용 내역'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8월까지 선불충전 건수는 8,113만 건을 기록했습니다.
사진=인사이트
같은 기간 선불충전금 총액은 2조 6,249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연도별 선불충전금 규모를 살펴보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0년 1,848억 원에서 시작해 2021년 3,402억 원, 2022년 4,402억 원, 2023년 5,450억 원으로 꾸준히 늘어났습니다. 2024년에는 6,603억 원을 기록해 4년 사이 257%나 폭증했습니다. 올해 8월까지만 해도 4,544억 원의 선불금이 유입돼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고객들이 아직 사용하지 않은 선불충전금도 상당한 규모입니다.
올해 8월 기준 미사용 선불충전금은 4,014억 원으로, 2020년 말 1,801억 원 대비 약 123% 증가했습니다.
스타벅스는 이러한 선불충전금을 예금과 신탁 등 현금성 자산으로 운용해 2020년 이후 408억 원 상당의 이자 수익을 거뒀습니다.
운용 방식을 보면 전체 자금의 약 60.5%인 1조 826억 원은 은행 예금에 맡겼고, 나머지 39.5%인 7,073억 원은 단기자금신탁과 특정금전신탁 등 비은행권 상품에 투자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막대한 선불충전금이 금융당국의 관리·감독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카드는 자사 매장에서만 사용 가능한 폐쇄형 구조로 범용성이 없어 전자금융거래법상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스타벅스 측은 "원리금이 보장되는 단기자금신탁 등 안정적 상품에 투자해왔다"고 해명했지만, 신탁 상품의 경우 운용기관의 신용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어 고객 자금 보호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강민국 의원은 "선불충전금을 마치 자기 쌈짓돈인 듯 굴려 400억 원 이상 수입을 올리는데도 전자금융거래법상 선불전자지급수단에 해당되지 않아 금감원의 감독·검사를 받지 않는다는 것은 소비자 자산을 방치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