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유튜버 한스가 장경인대 부상으로 달리기를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15일 '먹방 마라토너'로 유명한 한스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달리기 하지 마세요. 그러다 무릎 나가요'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하며 부상 소식을 전했습니다.
영상에서 한스는 "장경인대 쪽 통증이 너무 심하다. 더 이상 뛰질 못하겠다. 큰일 났다. 집에는 어떻게 가지"라고 고통스러운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YouTube '한스 HANS'
그는 "이제 5km만 뛰어도 아프다. 한 번 부상 당하니까 쉽지 않다. 극복하려고 노력하는데도 잘 안되는 것 같다"고 어려움을 고백했습니다.
한스는 부상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정신적 어려움도 겪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영상을 못 올리고 있는데 멘탈이 좋지 않다. 부상 한번 당하니까 통증에서 부상을 느끼는 것이 아니더라. 마음의 괴로움과 집착 때문에 힘든 것 같다"라고 심경을 전했습니다.
한스는 부상 이후 재활을 위해 필라테스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내가 약했던 부분, 장경인대. 결국 하체가 부실했다. 그중에서도 둔근(엉덩이) 힘이 부족했다"며 "필라테스를 통해 약했던 근육을 보강해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달리기는 전신운동이라 모든 근육이 협응해서 써야 하는데, 필라테스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된다"고 말하며 "필라테스 진짜 힘든 운동이다"라고 덧붙였습니다.
YouTube '한스 HANS'
집에서는 폼롤러를 활용해 근육을 풀며 꾸준히 몸 상태를 점검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한스는 "지금 부상 당하지 않았더라도 언젠가 겪게 될 부상이었다. 멋모르게 무식하게 뛰었던 거다"라며 "이참에 다시 제대로 일어서려고 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조급한 마음이 컸는데 그런 마음을 내려놓고, 부상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보강 훈련을 하면서 잘 쉬고 풀어주며 극복해 나가려고 하겠다"고 앞으로의 계획을 전했습니다.
한스는 영상 제목에 대해 "'달리기를 하지 마세요'라고 적었지만, 꼭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며 "누군가는 '웬만하면 달리기 하지 마라, 지금 나이엔 괜찮아도 나중에 무릎 못 쓴다'고 한다. 그 말에 공감하고 존중한다"고 말했습니다.
YouTube '한스 HANS'
그러면서도 "하지만 저는 이렇게 생각한다. 위기는 언제나 기회라고. 부상이나 시련이 찾아올 때 포기하기보다 왜 불편한지,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지 직접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소신을 밝혔습니다.
아울러 "앞으로도 슬기롭게 헤쳐 나가고 그 끝에는 전혀 새로운 세상이 올 거라고 믿는다. 저는 더 단단하게 다시 달릴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습니다.
장경인대는 골반에서 정강이뼈까지 다리 바깥쪽을 따라 이어지는 인대로, 장경인대증후군은 러너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부상입니다.
무릎 바깥쪽에 통증을 일으키며, 잘못된 러닝 자세나 갑작스럽게 늘어난 훈련 강도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통증으로 악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YouTube '한스 HANS'
전문가들은 장경인대증후군 극복을 위해 통증을 억누르기보다 원인을 바로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자세 교정과 근력 회복이 치료의 핵심이며, 증상이 완화된 이후에는 고관절과 중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을 병행하고 러닝 거리와 강도는 점진적으로 늘려야 합니다.
한스는 마라톤 코스에서 음식물을 섭취하며 달리는 독특한 콘셉트의 영상으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숨쉬기도 버거운 풀코스 구간에서 각종 음식 먹방을 선보이며 주목받았고, 보성녹차 마라톤, 런 마라톤, 지리산 화대 종주 등 산악 코스까지 완주하며 '먹방 러너'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그러나 무리한 도전이 이어지면서 최근 장경인대 부상으로 달리기를 중단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