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산모, 자연분만보다 극심한 통증과 수면장애 위험 높아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들이 자연분만을 경험한 여성들에 비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극심한 통증과 수면장애를 더 많이 겪는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연구는 '2025 미국마취학회(Anesthesiology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공개되었으며,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의 모에 다케노시타 박사 연구팀이 진행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다케노시타 박사는 출산 후 회복 과정에서 수면이 종종 간과되지만, 산모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습니다.
제왕절개 출산은 심한 통증과 수면장애 위험을 증가시키며, 이는 산후 우울증, 기억력과 집중력 저하, 만성 피로, 그리고 아기와의 유대 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41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출산 후 통증과 수면 상태를 조사했습니다. 이 중 24명은 자연분만, 11명은 계획된 제왕절개, 6명은 응급 제왕절개를 경험한 여성들이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조사 결과, 제왕절개를 한 여성의 약 3분의 2 이상이 수면과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심한 통증을 호소한 반면, 자연분만을 한 여성 중에서는 약 8%만이 같은 문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규모 보험자료 분석으로 확인된 수면장애 위험 증가
연구팀은 더 광범위한 데이터 분석을 위해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약 150만 명의 출산 여성 보험자료를 검토했습니다.
분석 결과, 제왕절개로 출산한 여성들은 자연분만을 한 여성들보다 출산 후 1년 이내에 불면증, 수면 부족, 수면무호흡증 등 새롭게 진단되는 수면장애를 겪을 확률이 16%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다케노시타 박사는 "제왕절개 수술 후 회복 중인 산모에게는 통증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통증이 적절히 조절되지 않으면 수면의 질이 더욱 나빠질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산모들의 수면 개선에 도움이 되는 방법으로 적절한 운동, 아기가 잠들 때 함께 잠자기, 카페인과 음주 자제, 그리고 취침 전 목욕이나 심호흡 등을 권장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현재 미국에서는 전체 출산의 약 3분의 1이, 영국에서는 4명 중 1명이 제왕절개로 출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비만율 증가, 출산 연령 상승, 산과적 기준 변화 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제왕절개 비율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다케노시타 박사는 "제왕절개를 계획하는 여성들은 수술 후 심한 통증과 수면장애 위험이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며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수면 문제가 지속된다면 의사와 상의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의 상담을 받아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