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주거환경과 생존율의 상관관계 밝혀져
일본 연구진이 고령층의 주거 형태가 사망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이 아파트 거주자들보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높다는 것이 6년간의 대규모 추적 조사를 통해 확인된 것인데요.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지난 10일 도쿄과학연구소(Science Tokyo)는 약 3만 9,00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장기 추적 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임대 아파트나 자가 단독주택 거주자들의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자가 아파트 거주자들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실내 온도의 불안정성을 지목했습니다. 단독주택의 경우 사방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실내 온도가 더 차갑고 불안정해지기 쉽다는 분석입니다. 연구진은 "주택 단열을 개선하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특히 남성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국제기구와 일본 정부의 공식 인정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의 국제적 연구 동향과도 일치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18년 발표한 '주택 및 건강 지침'에서 "심근경색과 뇌졸중 같은 심혈관 질환은 추운 집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고 명시한 바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추위가 혈압 상승을 유발하여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일본 정부 역시 지난해 발표한 '심혈관 질환 임상 진료 지침'에서 주거 환경을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으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이는 주거환경이 단순한 생활 조건을 넘어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건강 결정 요인임을 의미합니다.
대규모 코호트 연구로 입증된 과학적 근거
이번 연구는 평균 연령 73.6세의 일본 고령자 3만 8,731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입니다.
연구진은 주거 형태를 자가·임대, 아파트·단독주택으로 구분하여 심근경색, 부정맥, 심부전, 뇌졸중 등으로 인한 공식 사망 기록을 연계 분석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분석 결과, 단독주택 거주자들은 아파트 거주자들보다 실내 온도 변동 폭이 컸으며, 이에 따른 혈압 상승과 변동성이 두드러졌습니다. 일본의 이전 연구들에서도 단독주택이 아파트보다 실내 온도가 낮고 불안정하다는 경향이 일관되게 확인되어 왔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남성에게서 위험이 더 크게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일본고혈압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60~70대 남성은 같은 연령대 여성보다 수축기 혈압이 높아 추위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건강한 노후를 위한 주거환경 개선 방안
연구진은 구체적인 해결책도 제시했습니다. "주택 단열 수준을 높이고, 실내 온도를 WHO 권장 기준인 섭씨 18도 이상으로 유지하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했습니다.
와타루 우미시오 도쿄과학대 건축학과 조교수는 "단열이 개선된 고품질 주택은 노인의 건강을 보호할 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높여 기후 변화 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