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일본 기업들의 직원식당 강화 움직임
코로나19 엔데믹 전환 이후 사무실 출근이 늘어나면서 일본 기업들 사이에서 직원식당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점심 한 끼 비용이 1만 원을 넘나드는 높은 외식비 부담으로 인해 일부 직장인들은 점심을 아예 거르는 상황까지 발생하고 있어요.
지난 13일(현지 시간)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일본 기업들이 직원식당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miagesBank
화장품 대기업 일본 로레알은 9월 하순부터 기존의 덮밥·파스타 위주 정형화된 메뉴를 뷔페식으로 전면 개편했습니다. 신선한 채소 10여 종과 산지 직송 닭고기, 과일까지 포함한 한 접시를 550엔(한화 약 5200원)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직원들의 요구에서 시작됐습니다.
직원들이 "근처 식당은 너무 붐벼서 불편하다", "저렴하고 만족스러운 점심이 드물다", "채소가 풍부한 식단을 원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자 회사가 직접 개선에 나선 것입니다.
회사 담당자는 "많은 직원이 이용하고 있어 반응이 좋다"고 밝혔습니다.
기업용 케이터링 업체의 사업 확장 계획
로레알 식당 운영을 담당하는 기업용 케이터링 업체 CNC는 치바현 10개 농가와 계약을 체결해 저렴한 원가로 식재료를 공급받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google ImageFx
현재는 로레알만을 대상으로 식당을 운영하고 있지만, 2027년까지 50개 기업으로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인재 서비스 대기업 파소루홀딩스도 코로나 시기 문을 닫았던 사내식당을 올해 6월, 5년 만에 재개장했습니다.
이는 물가 부담 완화와 함께 재택근무로 줄어든 직원 간 교류를 되살리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9월 이후에는 주 2회씩 야간에도 식당을 개방하며 알코올 음료까지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내식당 시장 규모 회복세
시장조사업체 후지경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 내 사내식당 시장 규모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에 9096억엔(한화 약 8조5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나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엔데믹 이후 회복세가 지속되어 2024년에는 9720억엔(한화 약 9조1800억 원)에 달했습니다.
요미우리신문은 재택근무에서 사무실 근무로 복귀하는 흐름이 커지면서, 복리후생의 일환으로 사내식당을 강화해 운영하려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miagesBank
'핫페퍼 그루메 외식종합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올해 일본 직장인의 점심 예산은 평균 1250엔(한화 약 1만1800원)으로, 5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2020년(1039엔, 한화 약 9800원)보다 200엔 이상 올랐으며, 점심을 아예 먹지 않는 근로자도 24%에 달했습니다.
츠유키 미유키 데이쿄대 교수는 요미우리와의 인터뷰에서 "물가 상승 등으로 가계가 압박받는 상황에서 기업은 직원의 생활과 건강을 지키는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면서 "또한 직원들 간 소통의 장으로서 사내식당이 확대할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