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암 환자도 금연하면 생존기간 연장 효과 확인
미국 연구진이 말기 암 환자라도 금연을 하면 생존기간이 크게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특히 3기 또는 4기 암 환자의 경우 금연 시 평균 330일의 생존기간 연장 효과를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의대 리슈윈 천 교수팀은 10일(현지시간) 전미종합암네트워크 저널(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에 이같은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연구팀은 암센터 외래진료 환자 1만3000여명을 대상으로 6개월 내 금연 여부와 2년 내 사망의 관계를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미국 암 환자의 약 25%는 암 진단 당시 흡연자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치료 중에도 계속 담배를 피우고 있습니다. 이는 '암에 걸린 사람, 특히 말기 암 환자에게는 금연이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잘못된 인식 때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3-4기 환자, 금연 시 생존율 85% 도달 시점 330일 차이
연구팀은 2018년 6~12월 외래 진료를 받은 암 환자 1만3282명을 대상으로 금연 프로그램을 활용해 6개월 내 금연 여부를 조사하고, 이후 2년간의 생존율을 추적 비교했습니다.
분석 대상 중 흡연자는 1725명(13.0%)이었으며, 이 중 6개월 내 금연에 성공한 환자는 381명(22.1%), 계속 흡연한 환자는 1344명(77.9%)이었습니다.
2년 이내 사망자는 금연 그룹에서 75명(19.7%), 흡연 그룹에서 347명(25.8%)으로 나타났습니다. 모든 암 유형과 병기를 통합해 분석한 결과, 첫 진료 후 2년이 지난 시점의 생존율은 흡연 그룹이 74.7%, 금연 그룹이 85.1%로 금연할 경우 생존 확률이 10.4%P 높았습니다.
특히 생존율 개선 효과는 1~2기 환자보다 3~4기 환자에서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3기와 4기 환자가 생존율 85%에 도달한 시점을 비교하면, 흡연 그룹은 첫 진료 후 210일째였으나 금연 그룹은 540일째였습니다.
연구팀은 3기 또는 4기 암 환자 중 흡연을 계속한 사람은 85%가 첫 진료 후 210일을 살지만, 금연한 사람의 85%는 540일까지 생존해 거의 1년 가까이 더 산다고 설명했습니다.
"말기 환자에게 1년은 긴 시간, 희망과 금연 의지 높일 것"
논문 제1 저자인 스티븐 토마시 박사는 "말기 암 환자들은 종종 절망감을 느끼지만, 몇 달밖에 못 살 것이라고 들은 그들에게 1년은 긴 시간"이라며 "이 연구 결과가 그들에게 희망을 주고 금연 의지도 높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연구팀은 암이 많이 진행된 환자일수록 금연의 이익이 더 커져 생존 기간이 두 배 이상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암 치료가 시작된 후라도 금연하는 것이 충분히 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