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열병식, 김정은 딸 주애 불참 '주목'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기념하는 열병식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딸 김주애가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습니다.
지난달 초 중국 방문 이후 한 달이 넘게 공식 석상에 등장하지 않으면서 김주애의 행방과 북한 후계 구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11일 뉴스1 보도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0일 '당 창건 80주년 경축 열병식'이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성대하게 개최됐다고 전했습니다.
평양 노동신문 / 뉴스1
이번 열병식에서는 신형 무기 등장과 함께 김주애의 참석 여부가 주요 관심사였으나, 북한 매체들의 보도를 종합해 볼 때 김주애는 이번 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주애는 지난달 5일 아버지 김정은 총비서와 함께 중국 베이징 방문을 마치고 평양으로 돌아온 이후 한 달 넘게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정권 수립 75주년' 열병식에서 김정은 총비서 바로 옆자리에 앉아 군 장성들의 경례를 받으며 후계자로서의 존재감을 부각했던 것과는 대조적인 상황입니다.
북한 열병식과 국제 정세의 연관성
이번 열병식에는 중국의 리창 국무원 총리와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베트남 최고지도자인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등 주요 사회주의 국가의 고위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습니다.
평양 노동신문 / 뉴스1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김주애가 등장할 경우 지난달 중국 전승절 때처럼 국제사회의 관심이 '북한 후계자 구도'에 집중될 것을 우려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김정은 총비서의 아내 리설주도 참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김정은 총비서가 이번 열병식을 통해 미국과 관계가 좋지 않은 사회주의 국가들 간의 연대를 강화하고 북한의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분석합니다.
또한 김주애가 아직 어리고 당 내 공식 직함이 없는 점을 고려할 때, 외국 고위 인사들과 함께하는 공식 행사에 참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방중 당시에도 베이징 도착과 평양 복귀 장면에서만 북한 매체에 포착됐을 뿐, 3박4일간 진행된 김정은 총비서의 공식 일정에는 동행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