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사면 조치, 카드업계 기회인가 위험인가
금융위원회가 370만명 대상 신용사면을 실시해 29만명이 신규 카드발급 가능해졌으나, 카드업계는 건전성 우려와 신규 고객 확보 기회 사이에서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10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번 신용사면 대상은 2020년 1월부터 올해 8월 사이 5000만 원 이하의 채무를 연체했다가 올해 12월 말까지 전액 상환한 개인 또는 개인사업자입니다.
이미 상환을 완료한 257만7000여 명은 연체 이력이 즉시 삭제됐으며, 연말까지 빚을 갚지 못한 112만6000여 명도 상환 완료 시 별도 신청 없이 신용회복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신용사면으로 인한 신규 카드 발급 가능성과 리스크
금융당국은 이번 조치로 약 29만 명이 새롭게 신용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3월 시행된 신용사면 당시 약 15만 명이 신용점수 645점(나이스신용평가 기준)을 충족해 신용카드 발급이 가능해진 것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그러나 카드업계는 이미 연체율 상승에 부담을 느끼는 상황에서 부실 차주 유입이 건전성 관리에 추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말 기준 대환대출을 포함한 신용카드사 8곳(신한·삼성·KB국민·현대·하나·우리·롯데·비씨)의 평균 연체율은 1.88%로, 전년 동기 대비 0.12%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신용사면 대상자의 재연체 가능성인데요. 실제로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 신용평가사 2곳(NICE평가정보·한국평가데이터)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사면을 받은 286만 명 중 95만5559명(약 33%)이 올해 7월 기준 다시 연체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신규 고객 확보의 기회와 제한적 영향
반면, 이번 신용사면을 새로운 기회로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자금을 성실히 상환한 개인과 개인사업자가 대상에 포함된 만큼, 이들을 중심으로 맞춤형 영업을 전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특히 여유 자금을 확보한 개인사업자를 우량 고객으로 유치하는 전략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카드업계는 지난해부터 개인사업자 고객 기반 확대에 주력해온 만큼, 이번 사면을 '옥석 가리기'의 기회로 삼겠다는 분위기입니다.
일각에서는 신용사면으로 인한 신규 카드 발급이 업계 전반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편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신용카드사 8곳의 전체 회원 수는 8027만 명입니다. 이번 신용사면으로 신규 발급이 가능한 29만 명은 전체 회원의 약 0.36%에 불과합니다.
같은 달 카드사들의 신규 회원은 81만7000명, 해지 회원은 55만9000명으로, 월 단위로도 수십만 명의 회원 이동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카드업계는 당분간 기존 영업 기조를 유지하며 시장 상황을 관망할 방침입니다. 새로운 카드 수요 발굴도 중요하지만, 우량 차주 확보가 여전히 최우선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중·저신용자 유입을 통한 신판잔액(MS) 확대는 긍정적일 수 있으나, 카드론이나 현금서비스 증가로 이어질 경우 건전성 악화로 반전될 가능성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