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모든 앱의 중심 플랫폼으로 진화
오픈AI가 챗GPT를 모든 앱의 중심 플랫폼으로 진화시키는 비전을 공개했습니다.
지난 6일(현지 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 포트메이슨 컨벤션홀에서 오픈AI의 연례 개발자 대회인 '데브데이'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행사에서 오픈AI는 챗GPT의 혁신적인 변화를 선보였습니다.
무대에 오른 오픈AI 연구원이 챗GPT에 명령을 입력하자, 디자인 앱 캔바가 즉시 포스터와 투자 발표자료를 생성했습니다. 이어서 "사업을 다른 도시로 확장하고 싶다"는 입력에 챗GPT는 대화 맥락을 파악해 피츠버그를 추천했고, "질로(부동산 앱), 피츠버그의 집 목록을 보여줘"라는 명령에는 질로 앱이 실행되어 피츠버그 지역 매물을 표시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Pixabay
이 모든 과정이 챗GPT 대화창 안에서 이루어졌으며, 별도로 앱을 오가거나 새 창을 띄울 필요가 없었습니다. 사용자는 대화만으로 앱을 불러내고, 앱은 이 대화를 이해하고 반응했습니다. 이는 챗GPT를 단순한 AI 챗봇에서 '모든 앱의 중심 플랫폼'으로 진화시키겠다는 오픈AI의 비전을 보여주는 순간이었습니다.
디지털 경험의 통합, 새로운 인터페이스 혁명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앞으로 사용자는 챗GPT 안에서 앱을 직접 실행하고 간단한 대화로 조작할 수 있다"며 "대화형, 적응형, 개인화된 새로운 세대의 앱이 탄생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현했습니다.
오픈AI는 이날 스포티파이, 코세라, 질로, 피그마, 익스피디아, 부킹닷컴, 우버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협약을 맺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20년 전 구글이 검색창을 통해 인터넷의 관문으로 자리잡은 전략과 유사한 접근법으로, 챗GPT를 모든 디지털 행위의 출발점으로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입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 과정에서 오픈AI는 애플의 iOS나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록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챗GPT가 사용자 행동과 관심사를 담은 고품질 데이터 허브로 자리잡게 되면, 이는 AI 모델 개선뿐만 아니라 수수료 결제, 광고 등 새로운 수익 구조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누구나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는 '에이전트 키트'
데브데이에서 오픈AI는 '에이전트 키트'라는 혁신적인 도구도 공개했습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면 코딩 지식 없이도 단 8분 만에 AI 에이전트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시연에서는 '드래그 앤드 드롭' 방식만으로 홈페이지에서 질의응답이 가능한 챗봇 에이전트를 개발했으며,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추가하고 시연까지 성공하는 데 단 7분이 소요되었습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 / 뉴스1
이는 누구나 챗GPT 안에서 앱과 AI 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개발자들을 챗GPT 생태계로 유입시키려는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오픈AI는 챗GPT를 단순한 대화형 도구가 아닌 '앱 스토어이자 운영체제(OS)'로 발전시키려는 비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올트먼 CEO는 "AI는 질문에 답하는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세상을 바꾸는 존재가 됐다"며 "6개월 동안 챗GPT가 앱에서 운영체제로 발전하는 진화를 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