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폰 시장, 선진국과 신흥국 간 뚜렷한 명암
글로벌 리퍼브 스마트폰(리퍼폰) 시장에서 지역별로 상반된 양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선진국에서는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반면, 신흥국에서는 꾸준한 수요 증가를 보이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진=인사이트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가 8일 발표한 전세계 중고폰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세계 리퍼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애플이 올 상반기 리퍼폰 판매량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 늘어나며 시장을 주도했습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미국과 주요 유럽 국가들의 리퍼폰 시장은 미미한 성장세를 보이거나 판매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습니다.
선진국 중에서는 일본만이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 성장을 기록했을 뿐, 전체 선진국 리퍼폰 시장 성장률은 1% 수준에 그쳤습니다.
신흥국 시장에서 애플 약진, 삼성은 선진국 선방
반면 신흥 리퍼폰 시장은 4% 성장률을 보이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애플은 신흥 시장에서 12%라는 높은 성장률을 달성하며 시장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선진 시장에서 점유율이 4% 상승하는 선방을 보였지만, 전체 시장 약세로 인해 성장세는 제한적이었습니다.
상반기 리퍼폰 시장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5G) 스마트폰이 57%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이 최신 기술을 탑재한 중고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 결과, 아이폰 사용자 대부분은 애플의 기존 고객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에서는 아이폰 사용자 3명 중 1명이 새 아이폰을 구매하기 전 이전 아이폰을 보상 판매하거나 별도로 판매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영국, 중국, 인도 등 다른 주요 시장에서는 이러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아이폰 리퍼폰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공급 부족과 미수리 중고폰 판매 증가
얀 스트리작 카운터포인트 연구위원은 "리퍼폰 시장 경쟁이 심화되며 업체들 이익률은 낮아지고 중고폰 물량을 확보하는 것 또한 어려워지고 있습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공급이 줄어듦에 따라 중고폰을 수입하는 나라들은 선택할 수 있는 기기가 많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사업 운영 비용을 낮추려 하고 있으며, 그 결과 미수리 중고폰(As-Is) 판매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 미수리 중고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하며 리퍼폰의 성장률을 앞질렀고,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몇 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전 세계 리퍼폰 시장이 올 하반기에 무역 경로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한 거시경제 불확실성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입니다"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보상 판매 프로그램 또한 공급 부족 문제를 어느 정도 완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라고 분석했습니다.
아이폰 13, 아이폰 14 시리즈, 삼성 갤럭시 S 시리즈 등 최신 모델에 대한 수요는 최소한 선진 시장에서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실제로 지난달 출시된 아이폰 17 시리즈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어, 아이폰 17 시리즈 구매자들이 기존 아이폰을 처분하면서 리퍼폰 물량 수급이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