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월)

한국인 아침 거르기 심각, 질병관리청 조사 결과 3명 중 1명 이상 결식

한국인 아침식사 결식률 35.3%로 10년간 지속 증가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세 이상 국민의 아침식사 결식률이 35.3%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한국인 10명 중 3.4명이 아침을 거르고 있다는 의미로,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국민의 비율이 2015년 26.2%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해 10년간 9.1%포인트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 아침식사 결식률을 살펴보면 20대가 62.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특히 20대 여성의 경우 67.5%가 아침을 먹지 않아 3분의 2가 넘는 비율을 기록했으며, 이는 20대 여성 중 35.3%만이 아침을 챙겨 먹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능 미역국,엄마의 사랑,수능 미역국 준 사연,엄마 수험생 눈물 썰,수능 여고생 엄마 화 도시락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 gettyimagesbank


연령대별 아침식사 결식률 현황과 특징


연령대별로 아침식사를 거르는 비율을 분석한 결과, 20대에 이어 30대가 46.8%, 40대가 39.1%, 10대가 35.5%, 50대가 25.3% 순으로 높은 결식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4.9%만이 아침을 거르는 것으로 조사되어 가장 낮은 결식률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젊은 연령층일수록 아침식사를 거르는 경향이 뚜렷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20-30대의 높은 결식률이 주목됩니다.


아침식사 결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질병관리본부→질병관리청으로 승격...독립적 권한 부여질병관리본부→질병관리청으로 승격...독립적 권한 부여


그동안 국내외 연구에서는 아침을 건너뛰면 비만, 당뇨병 등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결과가 여러 차례 발표되었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지난해 실시한 식사 건너뛰기 패턴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아침을 거르는 그룹에서 심장대사질환 위험도가 가장 높고, 이어 점심, 저녁 순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당 연구에서는 아침을 거르는 사람들의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콜레스테롤(LDL), 중성지방, 공복 혈당, 혈압 수치가 세 끼를 거르지 않는 그룹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