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해저 데이터센터로 AI 냉각 혁신 시도
중국이 인공지능(AI) 급성장으로 인한 전력 소비와 탄소 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중 데이터센터 건설에 나섰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3일(현지시간) 보도한 바에 따르면, 상하이 인근 부두에서 노란 캡슐 형태의 서버 모듈이 해저 투입을 앞두고 마무리 작업을 진행 중이며, 이달 중순 상하이 앞바다에 데이터센터가 설치될 예정입니다.
해저 데이터센터의 핵심은 자연 냉각 시스템입니다. 기존 지상 데이터센터는 서버 냉각을 위해 공조기나 증발식 냉각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막대한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의 원인으로 지적받아 왔습니다. 이양 하이랜더 부사장은 "수중 데이터센터는 냉각 에너지를 기존 대비 약 90%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AI로 생성된 이미지
마이크로소프트 이후 상용화 도전하는 중국
해저 데이터센터 기술은 2018년 마이크로소프트(MS)가 스코틀랜드 연안에서 최초로 시험한 바 있습니다. 중국의 현재 프로젝트는 상용화를 목표로 한 초기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해저 데이터센터의 전력은 해상 풍력단지에서 대부분 공급받아 재생에너지 비중을 95% 이상으로 높일 계획입니다.
하지만 기술적 난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해수로 인한 부식과 누수 방지가 가장 큰 과제입니다. 또한 정비 인력의 접근을 위한 엘리베이터 설치와 구조물 연결부의 보호 코팅 기술이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해저 케이블을 통한 본토와의 연결 작업도 지상 데이터센터보다 복잡한 공정을 요구합니다.
해양 생태계 영향과 미래 전망
데이터센터가 발생시키는 열이 해양 생태계에 미칠 영향도 중요한 변수입니다. 전문가들은 수중 데이터센터가 기존 육상 센터를 완전히 대체하기보다는 틈새 수요를 보완하는 역할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수요와 전력·용수 소모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해양 자연 냉각과 해상 풍력을 결합한 저탄소 인프라 실험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