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9일(수)

'SK·오픈AI' 동맹 구축... 최태원, 샘 올트먼 손잡고 글로벌 AI 패권 게임체인저로

SK그룹, OpenAI와 손잡고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 나선다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그룹이 대한민국 AI 생태계에 혁신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글로벌 인공지능(AI) 선두주자인 OpenAI와 메모리 반도체 공급과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설립·운영 협력에 관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SK는 글로벌 AI 인프라 혁신의 핵심 축으로 참여하며, 대한민국의 AI를 전 세계 중심으로 나설 수 있도록 힘을 불어넣을 전망입니다.


사진1 (2).jpg


최태원-샘 올트먼 회동...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본격화


지난 1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열린 회동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샘 올트먼 OpenAI CEO는 메모리 공급 의향서(LOI)와 AI 데이터센터 협력 양해각서(MOU)에 서명했습니다.


최 회장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통해 글로벌 AI 인프라 구축에 SK가 핵심 파트너로 참여하게 됐다"며 "메모리부터 데이터센터까지 아우르는 통합 인프라 역량을 집중해 국가 AI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OpenAI를 중심으로 글로벌 차원의 대규모 AI 데이터센터(AIDC)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SK는 한국형 '스타게이트 코리아'를 추진합니다.


SK하이닉스·SK텔레콤 역할 강화


사진2 (2).jpg


고대역폭메모리(HBM) 영역 전 세계 NO.1 반도체 기업인 SK하이닉스도 큰 역할을 담당합니다.


HBM은 AI 학습에 필수적인데, 오픈AI가 필요로하는 HBM 공급 파트너로 참여합니다. 이번 체결은 다른 시장 참여자들이 따라오지 못하는 SK하이닉스의 기술력과 대규모 공급 역량을 공식 인정받은 사례로 평가됩니다. 


오픈AI의 HBM 수요는 현재 전세계 생산 능력의 2배 이상에 달해, 향후 SK하이닉스는 월 최대 90만 장 규모 웨이퍼 생산 체제를 갖추고 적기에 대응할 계획입니다.


SK텔레콤은 데이터센터 구축·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서남권에 OpenAI 전용 AI 데이터센터를 공동 구축합니다. 이 시설은 아시아 AI 허브로 자리매김해 국가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전망입니다.


글로벌 AI 동맹의 신호탄


사진3 (2).jpg


이번 협력은 메모리 반도체, 데이터센터, AI 가속기(GPU) 확보까지 전 주기를 아우르는 파트너십으로, 미국과 한국 간 AI 경제 동맹의 상징적 사례로 평가됩니다. 정부도 "대한민국이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최태원 회장과 올트먼 CEO는 2023년부터 긴밀히 협력하며 차세대 AI 모델 개발과 전용 반도체·인프라 구축 필요성을 논의해왔습니다. 이번 협약은 하드웨어 병목 없는 혁신적 AI 아키텍처 개발의 본격 출발점으로, 글로벌 AI 생태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SK는 이미 지난 8월 AWS와 함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을 열며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을 강화한 바 있습니다. SK 관계자는 "이번 파트너십을 계기로 K-AI 생태계 확장에 앞장서고 글로벌 AI 대전환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