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들의 한미관계 인식 조사 결과
미국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한미관계 대응에 대한 미국 내 지지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미국의 한반도·동북아 외교정책에 대한 미국인들의 태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 미국 행정부의 한미관계 대응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33.5%에 그쳤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GettyimagesKorea
이는 2020년 38.1%에서 시작해 매년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해 48.5%까지 올랐던 지지율이 단 1년 만에 약 15%포인트나 급락한 수치입니다.
반면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8%,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8.5%로 나타났습니다.
미국인들이 한국과의 경제적 관계에 대해서는 여전히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응답자의 68%는 한국과의 교역이 미국에 이익이 된다고 답했으며, 한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에 찬성한다는 의견은 10%에 불과했습니다.
또한 한국의 대미 투자에 대해서도 62%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습니다.
안보 협력과 동맹 가치에 대해 한국 중요하게 평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미 동맹의 안보적 가치에 대해서는 미국인들의 63%가 미국 국가안보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조사 결과인 68%보다는 소폭 하락한 수치입니다.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과의 방위 공급망 협력 강화에 대해서는 56%가 찬성 의견을 보였지만, 30%는 방위 기술 공유를 더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유사시 미국의 동맹국 보호 의무에 관한 질문에서는 47%가 한국과 대만을 모두 보호해야 한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두 나라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한국(24%)을 선택한 응답자가 대만(14%)보다 많았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한국의 자체 핵무장에 대해서는 50%가 반대 의사를 표명했으며, 지지한다는 비율은 20%에 그쳤습니다.
북한에 대한 미국인들의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어서, 호의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1.6%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한국에 대한 호감도는 66%로, 최근 6년 평균치인 68%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조사에서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한국 문화의 영향력입니다. 응답자의 60%는 한국 문화가 미국 내 한국 이미지를 개선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국제 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은 '매우 영향력이 크다'고 응답한 비율이 68%로, 지난해 72%에서 소폭 하락했습니다.
미국인들이 생각하는 가장 심각한 외교적 위협 국가로는 러시아(66%)와 중국(6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스라엘(40%), 북한(35%), 이란(27%)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