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활동 증가로 백반증 위험 높아져, 조기 진단과 관리 중요
선선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야외 활동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한 강한 자외선 노출이 '백반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백반증은 피부 조직 내 멜라닌세포가 소실되어 피부에 하얀 반점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 질환은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을 주지는 않지만, 외관상 변화로 인해 환자들에게 심리적·사회적 고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백반증은 주로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Pexels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멜라닌세포를 공격하면서 발생하는데, 갑상선 질환이나 원형탈모와 같은 다른 자가면역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흔합니다.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15~20%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백반증의 주요 유발 요인으로는 과도한 자외선 노출과 피부 외상이 꼽히며, 항산화 효소의 불균형과 칼슘 섭취 이상 등도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백반증의 특징과 유사 질환과의 차이점
백반증의 특징 중 하나는 통증이 없다는 점입니다. 또한 초기에는 반점이 작아 쉽게 알아차리기 어려워 많은 환자들이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점이 넓어지고 전신으로 확산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주변 정상 피부는 햇볕에 그을리는 반면, 백반 부위는 그대로 하얗게 남아 더욱 뚜렷하게 보이게 됩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백반증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피부질환으로는 피부경화증, 백색잔비늘증, 탈색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겉으로 보기에 모두 피부가 하얗게 변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원인과 치료 방법은 각기 다릅니다.
단순히 눈에 보이는 증상만으로 자가 진단하기보다는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반증의 치료법과 일상 관리 방법
현재까지 백반증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다양한 치료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피부 염증을 억제하고 색소 회복을 돕는 약물치료가 있으며, 주로 국소 부위에 적용됩니다. 또한 멜라닌 세포의 활성을 촉진하기 위한 국소 자외선B(UVB) 치료와 같은 광선치료도 시행됩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일부 환자들에게는 정상 피부에서 멜라닌 세포를 채취해 이식하는 '자가 피부 이식'과 같은 외과적 치료법이 활용되기도 합니다.
백반증 관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과 꾸준한 관리입니다. 백반 부위는 일반 피부보다 자외선에 더욱 민감하여 일광화상이나 피부암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를 3~4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바르고, 야외 활동 시에는 긴소매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화정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백반증은 100명 중 1~2명꼴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라며 "가족력이 있거나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하는 사람이라면 특히 주의가 필요하며, 피부에 관심을 갖고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