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ESTA 수수료 대폭 인상... 한국인 여행객 부담 커져
미국이 전자여행허가(ESTA) 수수료를 기존 21달러(약 3만원)에서 40달러(약 5만6000원)로 대폭 인상했습니다.
지난 21일 미 세관국경보호국(CBP)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달 30일부터 새로운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이는 기존 대비 약 90% 인상된 금액으로 무비자로 미국을 방문하는 여행객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 GettyimagesKorea
ESTA는 2008년 한국에 도입된 제도로 관광이나 상용 목적으로 90일 이내 미국을 방문할 때 별도의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는 허가증입니다.
지난해 약 170만 명의 한국인이 미국을 방문한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번 수수료 인상으로 단순 계산하면 약 3230만 달러(약 450억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기존에 ESTA 승인을 받은 여행객들은 추가 수수료를 부담할 필요가 없습니다.
세관국경보호국은 ESTA 신청 사이트 업데이트가 완료될 때까지 수수료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에만 자동으로 40달러가 부과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H-1B 전문직 비자 수수료도 100배 인상... 기업들 혼란
ESTA 수수료 인상과 더불어 미국은 전문직 비자로 알려진 H-1B 비자 수수료도 대폭 인상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9일 H-1B 비자 수수료를 현행 1000달러(약 140만원)에서 무려 100배 인상된 10만 달러(약 1억 4000만원)로 올리는 포고문에 서명했습니다.
이 새로운 수수료 규정은 미국 동부시간 기준으로 21일 0시 1분부터 이미 발효되었습니다.
뉴스1
이 갑작스러운 인상 소식에 미국 기업들은 H-1B 비자를 소지한 외국인 직원들에게 급히 귀국을 지시하는 등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미 백악관은 인상된 수수료는 신규 비자 신청자에게만 적용될 예정이라고 발표하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외교부는 "이번 결정이 국내 기업과 전문인력의 미국 진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미국 측과 긴밀히 협의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