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그룹, 청년 채용 대폭 확대... 신사업 인재 확보 '총력'
삼성전자 외에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청년 일자리 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포스코 등 주요 그룹사들은 올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기존 계획보다 최소 7,000명 이상 많은 인원을 채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진=인사이트
채용 규모를 공개하지 않은 그룹까지 고려하면 실제 채용 인원은 더욱 증가할 전망입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18일 내년 신규 채용 규모를 1만명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올해 7,200명보다 2,800명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청년 인턴십 프로그램도 현재 400명 수준에서 내년에는 800명으로 두 배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전기차와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분야에서 주로 채용할 예정"이라며 "자동차산업은 고용유발계수가 높은 만큼 협력 업체와 지역경제에도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K그룹은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4,000명을 채용하여 연간 총 8,000명의 신규 인력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특히 연구개발(R&D),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신사업 분야에 채용이 집중될 예정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SK하이닉스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청주 M15X 신설을 앞두고 대규모 채용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래 성장동력 확보 위한 전략적 인재 투자
LG그룹은 올해부터 향후 3년간 신입사원 7,000명을 포함해 총 1만 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주요 채용 분야는 AI, 바이오, 클린테크와 함께 배터리, 전장(전자장치), 냉난방공조 등 미래 성장 산업입니다.
한화그룹은 상반기 2,100명에 이어 하반기에는 3,500명을 추가로 선발할 예정입니다.
올해 채용 인원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1,100명, 한화오션 800명, 한화시스템 550명 등 방산 및 항공우주 분야에 집중되며, 금융 계열사에서도 700여 명을 채용할 계획입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포스코그룹은 당초 계획했던 2,600명보다 늘어난 3,000명을 올해 채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를 시작으로 향후 5년간 총 1만 5,000명을 채용할 예정입니다. 내년부터는 그룹 공개채용에 더 많은 계열사가 참여하여 채용 규모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HD현대그룹도 올해 1,500명을 채용하고, 2029년까지 총 1만 명을 선발하는 장기 채용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9일 페이스북에 '청년 일자리,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청년 채용에 적극 나선 기업들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 국무회의에서 청년 고용문제 해결에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며 "이에 화답해 삼성·현대차·SK·LG·포스코·롯데·한화 등 국내 대표 기업들이 신규 채용계획을 연이어 내놨다"고 했습니다.
이어 "참으로 반갑고 다행스러운 소식"이라며 "올해만 4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된다고 하니 취업을 준비하는 우리 청년들에게 큰 희망과 용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