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과다 사용의 경고
중국에서 한 19세 대학생이 장시간 스마트폰을 내려다보는 습관으로 인해 갑작스러운 하반신 마비를 경험한 사례가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중국 관영 매체 CCTV의 보도에 따르면, 푸젠성 취안저우에 거주하는 19세 대학생 A씨는 최근 아침에 기상했을 때 다리에 감각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발견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A씨는 다리를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상태에서 즉시 응급실로 이송되었습니다.
의료진이 실시한 정밀 검사 결과, A씨의 경추 4번부터 흉추 1번까지의 척추 부위에서 대형 혈전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혈전이 척수를 압박하면서 가슴 아래 부위가 거의 마비되는 심각한 상황이 초래된 것입니다.
디지털 시대의 건강 위험
의료진은 A씨의 증상에 대해 장시간 고개를 숙이는 자세가 척추관 내 혈관을 손상시켜 혈종을 유발했고, 이로 인해 급성 마비가 발생했다고 진단했습니다.
A씨는 평소 또래 청년들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으로 게임과 SNS를 즐기는 일상을 보냈습니다.
여름방학 기간 동안 A씨는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설거지와 테이블 닦기 작업을 수행하면서 오랜 시간 고개를 숙인 자세를 유지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더욱 문제가 된 것은 휴식 시간에도 스마트폰을 내려다보며 같은 자세를 지속적으로 반복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생활 습관이 목 주변 혈관에 상당한 부담을 주어 결국 심각한 건강 문제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다행히도 A씨는 응급 수술을 통해 혈전을 제거할 수 있었고, 영구적인 마비 상태는 피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그는 재활 치료를 받으며 하반신의 움직임을 점진적으로 회복해가고 있는 중입니다.
전문가의 경고와 예방법
의료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와 관련하여 고개를 숙이는 자세가 혈류를 방해해 정맥을 비정상적으로 확장시키거나 팽창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두통, 어지럼증, 만성 피로감, 목과 어깨, 팔의 저림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A씨처럼 뇌경색이나 반신마비와 같은 중대한 건강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의료진은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에는 일정 시간마다 자세를 바꾸고 목과 어깨를 풀어주는 스트레칭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