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학생 학교폭력 피해율 증가세, 초등학생과 언어폭력 비중 높아
서울 지역 학생들 중 약 3%가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서울시교육청이 발표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2.9%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국 평균인 2.5%보다 높은 수치로, 서울 지역의 학교폭력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특히 주목할 점은 최근 4년간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2022년 2%, 2023년 2.2%, 2024년 2.4%, 그리고 2025년 2.9%로 매년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학교폭력 문제가 점차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5.6%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교 2.4%, 고등학교 0.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피해 유형과 발생 장소, 가해 및 목격 응답률 분석
학교폭력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언어폭력이 39.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집단 따돌림이 17.1%, 신체폭력이 15.1%로 뒤를 이었습니다.
피해 장소는 교실 안이 56.7%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복도나 계단이 29.8%로 나타났습니다.
피해 시간대는 쉬는 시간이 59.2%, 점심 시간이 35.3%로 조사되어 학생들의 자유 활동 시간에 학교폭력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가해 응답률은 1.1%로, 전년 0.9% 대비 0.2%포인트 증가했습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가 2.3%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 0.9%, 고등학교 0.1% 순이었습니다.
학교폭력 목격 응답률은 7.2%로 전년 대비 1.3%포인트 증가했으며,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11.6%, 중학교 7.6%, 고등학교 2.6%로 나타났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학교폭력 목격 시 학생들의 반응입니다. '피해학생에게 위로와 도움 주기'가 34.6%로 가장 많았지만, '아무 것도 하지 못했다'는 응답도 31.2%에 달해 방관자 문제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9월부터 경미한 사안이 많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관계회복 숙려제 시범교육지원청을 운영하고 있으며, 학교폭력 발생 비율이 높은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집중 예방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