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수, 주 4.5일제에 대한 우려 표명
개그맨 박명수가 이재명 정부에서 논의 중인 '주 4.5일제'에 대해 인구 감소 상황에서의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12일 박명수는 KBS 쿨FM '박명수의 라디오쇼'에서 "인구도 없는데 이것까지 줄이면 어떡하냐"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습니다.
개그맨 박명수 / 뉴스1
이날 방송에서 방송인 전민기가 '검색N차트' 코너를 진행하며 "21년 만에 금요일 점심 퇴근을 할 수도 있다"고 주 4.5일제를 언급하자 박명수는 기업의 입장을 고려한 발언을 이어갔습니다.
전민기는 과거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며 "어릴 때는 토요일까지 일했다. 토요일 오전 12시에 일이 끝나면 그것도 좋다고 생각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박명수는 "토요일 오전 12시에 끝나면 집에 가서 밥 먹지 않았나. 그렇게 했기 때문에 지금 이렇게 사는 게 아닌가 싶다"라며 과거의 근면함이 현재의 삶을 만들었다는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그는 "당시에는 힘들었지만,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지금이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다양한 시각
전민기는 우리나라의 근로 환경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시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는 "우리나라 연평균 근로시간이 1904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185시간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주 4.5일제 논의가 급물살을 탄 건 코로나19 이후 유연근무·원격근무가 확산됐기 때문"이라고 배경을 전했습니다.
여론 동향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국민 61%가 찬성하지만 반대 측에서는 임금 삭감과 노동 생산성 한계를 지적한다"고 양측의 입장을 소개했습니다. 이에 박명수는 "인구도 없는데 이것까지 줄이면 어떡하냐"며 저출산 문제와 근로시간 단축을 연결시켜 우려를 표했습니다.
박명수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저희는 프리랜서라 추석에도 일한다"며 근로 형태에 따른 차이를 언급했습니다.
그는 "시대 흐름에 맞춰 나가서 운동하는 것도 나쁘지 않지만, 그래도 기업들 입장도 있다"고 균형 잡힌 시각을 보여주려 했습니다.
마무리 발언에서 박명수는 "이런 건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며 "경기도 좋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이 살아야 우리도 산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일하는 분들의 환경에 맞게 대화로 풀어야 한다"며 소통과 합의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