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망 해킹 의혹' KT, 지난달에도 소액 결제 피해 있었다
최근 KT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잇달아 발생해 "KT 전산망이 해킹당한 것 아니냐"는 가능성이 제기됐는데요.
그런데 사건 초기 이를 부인해 오다 지난 8일 오후에서야 해킹 피해 사실을 고백한 KT가 무려 한 달 동안이나 해킹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지난 9일 MBC는 광명시 KT 이용자들을 상대로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와 유사한 사건이 지난달 6일 영등포 지역에서도 발생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언론을 통해 KT 이용자들의 소액결제 피해 사례가 공개되기 약 한 달 전에 발생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31일 사이 경기도 광명시 주민들을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바 있습니다.
피해는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충전 등을 명목으로 새벽 시간에 주로 발생했으며 피해자 모두 'KT 통신망'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이 같은 피해가 보도된 지난 4일 KT는 "해킹 정황은 확인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는데요.
사실상 해킹 사실을 부인하던 KT는 지난 8일 오후 인터넷진흥원 KISA에 이번 사건과 관련한 '사이버 침해 사고'가 발생했다는 내용의 신고를 접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gesBank
이와 관련해 KT는 매체에 "지난 7일과 8일 저녁 사이, 과거 (사이버) 침해사고 흔적을 포착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사고 상황을 파악한 뒤 24시간 내 관계 당국에 신고한 사실을 강조하며 '늑장 대응'은 아니라고 해명했습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사안의 중대성과 이례적인 공격방식 등을 감안해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이동통신 및 네트워크 전문가와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14명의 합동 조사단을 꾸리고 사고 관련 기술적·정책적 자문을 받는 등 관련 조사를 철저히 추진할 계획입니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국내 최고 전문가 참여하는 조사단을 구성하여 신속한 원인 파악 및 피해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는 한편, 수사를 진행하는 경찰과도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