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 건강, 젊은 층도 안심할 수 없습니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으로 2030 청년층에서도 염증성장질환인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염증성장질환은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장 조직이 공격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 만성적인 복통과 설사, 혈변, 피로감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궤양성대장염은 대장과 직장에 국한되어 염증이 생기는 반면,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까지 위장관 전체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크론병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3만3238명으로, 10년 전인 2013년 1만6138명에 비해 약 2배 증가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연령별로는 20대가 31.2%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30대(25.1%), 40대(15.3%), 10대(15.1%)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30대 청년층 환자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주목할 만합니다.
잦은 설사나 혈변을 단순한 배탈로 여겨 방치할 경우, 장 협착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검사와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대장암, 무증상 상태에서도 진행될 수 있어 정기 검진 중요
식습관의 서구화로 인해 젊은 층의 대장암 발병률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2년 란셋 소화기저널(Lancet Gastroenterol Hepatol)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20~49세 인구 10만 명당 대장암 발병률은 12.9명으로 전 세계에서 1위를 기록했습니다.
대장내시경 검사는 검사 전 식단 관리와 장 정결제 복용 등 준비 과정이 번거로워 많은 사람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러나 대장암을 조기에 발견하면 생존율이 약 90%에 달하기 때문에, 가족력이 없더라도 건강검진 시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A씨도 "대장암에 걸렸다는 게 너무 충격이고 믿기지 않았지만, 지금은 그냥 한번 검사해 본 게 천운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생활 습관 개선으로 대장 건강 지키기
대장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섭취가 중요합니다. 또한 규칙적인 운동과 금연은 대장 건강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박지원 서울대병원 대장항문외과 교수는 "여러 연구에 따르면 육류와 가공육 위주의 식습관이 대장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복부 비만을 유발하는 고열량 식단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신체활동의 중요성도 강조했습니다. 박 교수는 "신체활동이 적은 사람은 대장암 위험이 올라간다"며 "운동량이 적으면 장의 운동이 떨어져서 대변이 장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서 건강에 좋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신체 활동을 많이 하면 복부 지방이 줄어들어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흡연과 음주 역시 대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박 교수는 "흡연자는 비흡연자보다 용종 발생 위험이 1.7배 높다"며 "하루 20개비 이상 담배 피우는 사람은 암이 될 가능성이 높은 용종이 생길 위험이 일반인보다 3.4배 높다는 연구가 있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