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배터리 공장 단속 사태에 국민의힘 "700조 선물 보따리 준지 11일 만에 뒤통수 맞아"
국민의힘이 미국 당국의 한국 기업 합작 배터리 공장 불법체류자 단속 사태를 두고 이재명 정부의 외교 역량을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6일 국민의힘은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그룹과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발생한 대규모 단속 사건과 관련해 정부의 외교 실패를 지적했습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 / 뉴스1
미국 당국은 해당 공장에서 한국인을 포함한 475명의 불법체류자를 체포했으며, 이는 한미 정상회담 직후 발생한 사건이라 더욱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700조 선물 보따리를 안긴 지 11일 만에 뒤통수를 맞았다"며 정부의 외교 역량 부재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 실패 지적... "일본보다 불리한 대우 받아"
국민의힘은 지난달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약속한 총 5천억 달러(약 700조 원)에 달하는 대미 투자가 무색하게도 합작 공장 단속 사태로 이어진 점을 꼬집었습니다.
박 수석대변인은 "이재명 정부가 약속한 대규모 투자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합작 공장 단속 사태로 돌아왔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산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한 반면, 한국산 자동차에는 여전히 25%의 높은 관세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도 비판했습니다.
ATF 애틀랜타 X 계정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이 미국 시장에서 일본 기업들보다 불리한 경쟁 환경에 놓이게 되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박 수석대변인은 "700조 원 투자 약속에도 불구하고 국민 안전과 기업 경쟁력 확보에 실패한 것이 바로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 현실"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국민의힘은 국민과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정부에 강력히 요구하며, 외교 실패에 대한 책임을 끝까지 물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사태는 한미 관계와 대미 투자, 불법체류자 문제, 자동차 관세 등 복합적인 외교 이슈가 얽힌 사안으로, 향후 정부의 대응과 미국과의 협상 과정이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