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입 수시모집 원서접수 시작, 주요 변화와 전략은?
오는 8일부터 12일까지 2026학년도 대학입학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진행됩니다.
올해 수시모집에서는 의과대학 모집인원이 2024년도 수준으로 동결되고, 대입 역사상 처음으로 '학교폭력' 처분 사실이 반영된다는 점이 큰 특징입니다.
수험생들은 이러한 변화를 고려한 지원 전략 수립이 필요합니다.
뉴스1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따르면, 2026학년도 대입에서는 전체 모집인원 34만5179명 중 79.9%에 해당하는 27만5848명을 수시모집으로 선발합니다. 정시모집은 20.1%인 6만9331명을 뽑습니다.
이는 2025학년도와 비교했을 때 수시는 4367명 증가하고, 정시는 122명 감소한 수치입니다.
수시모집의 대부분인 85.9%는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이루어집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생부 교과전형이 15만5495명(56.4%)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는 지난해보다 1020명 늘어났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8만1373명(29.5%)이며, 실기·실적 등 전형 2만1865명(7.9%), 논술전형 1만2259명(4.6%), 기타전형 4556명(1.7%) 순으로 모집이 이루어집니다.
학교폭력 처분 반영과 의대 모집인원 감소, 대입 경쟁 치열해질 전망
2026학년도 대입의 가장 큰 변화는 학교폭력 조치 사항이 의무적으로 반영된다는 점입니다.
뉴스1
학교폭력 처분은 1호 서면 사과부터 9호 퇴학 처분까지 총 9단계로 구분되며, 대학과 전형유형에 따라 학교폭력 처분 이력이 있으면 지원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수험생들은 본인의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내용을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의대 모집인원이 2024학년도 수준으로 동결되어 지난해보다 1000여명 적게 선발한다는 점도 주목해야 합니다.
전국 39개 의대에서 총 3123명을 모집하며, 이 중 수시에서 2115명(67.7%), 정시에서 1008명(32.3%)을 선발합니다. 이는 2025학년도 대비 1487명이 감소한 수준으로, 수시모집에서만 1003명이 줄어든 상황입니다.
반면, 올해 고3 학생 수는 45만3812명으로 지난해보다 4만7733명(11.8%) 증가했습니다. 이는 황금돼지띠 해였던 2007년에 출생률이 일시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학생 수 증가와 의대 모집인원 감소로 인해 입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시 지원자들은 안정적인 합격보다 소신 지원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종로학원이 지난 7월 23~27일 수험생 10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10명 중 4명(44.5%)은 수시 전형에서 '하향 지원'은 한 곳도 하지 않겠다고 응답했습니다.
평균적으로 상향 지원 2.9회, 적정 지원 2.3회, 하향 지원 0.8회로 나타나, 수험생들의 도전적인 지원 성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