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1일(목)

"KT, 해킹 의혹 받고난 뒤 문제의 서버 '폐기'"... 최민희, 증거인멸 의혹 제기

KT, 해킹 의혹 통보 직후 서버 폐기... '증거인멸' 논란 확산


최근 해킹 의심 정황으로 정부 조사를 받고 있는 KT가 관련 사실을 통보받은 직후 문제의 서버를 폐기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KT는 계획된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정치권에서는 증거인멸 가능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뉴스1


통보 후 3주 앞당겨 폐기... 해명과 다른 정황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5일 "KT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해킹 의혹을 통보받은 뒤 원격상담시스템 구형 서버를 계획보다 앞당겨 폐기한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KISA가 최 위원장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KT는 당초 해당 서버를 8월 21일 이후 폐기할 예정이었지만, 7월 19일 해킹 의혹 통보를 받은 직후 계획을 바꿔 8월 1일 서버를 폐기했습니다. 이는 7월 2일 회의에서 "최소 8월 21일까지 구형과 신형 시스템을 병행 운용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과 배치됩니다.


KT는 "새 구독형 솔루션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확인했으며, 문제의 서버는 단순 영상상담 기능만 제공해 업무에 영향이 없어 8월 1일 퇴역 처리했다"고 해명했습니다. 그러나 해킹 의혹 통보 직후 폐기된 점에서 의도적 증거인멸 의혹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KISA 조사 차질... 포렌식 불가능


선택된 이미지사진=인사이트


KISA는 7월 19일 KT에 해킹 의혹을 알리면서 해당 서버가 KT의 원격상담시스템 서버라는 사실은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KT는 이미 그 서버가 원격상담시스템임을 인지하고 있었습니다. 


KT는 자체 조사 후 7월 21일 "침해 흔적이 없다"고 회신했지만, KISA는 이후 추가 분석을 통해 문제의 서버가 원격상담시스템임을 확인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KISA는 8월 12일 KT에 자료 제출을 요청했으나, KT는 "이미 서버를 폐기했다"며 제출이 불가능하다고 답했습니다. 폐기된 서버는 가상 서버로, 일단 삭제되면 복구나 포렌식이 불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정부 조사는 사실상 한계에 봉착했습니다.


"민관합동조사단 필요"... 의혹 확산


최 위원장은 "해킹 의혹 통보 직후 서버를 폐기한 것은 의도적 증거인멸 의혹을 더욱 짙게 만든다"며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선택된 이미지사진=인사이트


이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해킹 여부뿐 아니라 KT의 증거인멸 정황에 대해서도 철저하게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KT의 해명과 정치권의 의혹이 정면으로 맞서면서, 향후 진상조사 방향과 책임 공방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